8,000TEU급 이상 선박에 대한 선석생산성 향상 대책 필요

 
부산항 터미널 생산성 향상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KMI에 따르면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하역생산성을 들 수 있다. 특히, 선박의 컨테 이너 양․적하 작업에 대한 평가지표인 선석생산성은 선사의 기항지 선택의 주요 고려사항으로 선석생산성이 높을수록 선박의 재항시간 단축효과가 있기 때문에 선박운영에 소요되는 각종 비 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에 KMI는 IHS Markit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세계 주 요 항만의 선석생산성을 분석하고 부산항의 위상을 점검해 보았다.
작년 기준 세계 167개 국가 672개 컨테이너 항만을 대상으로 선석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선형을 대상으로 한 국가별 선석생산성은 한국이 5위 (83.9회/hr)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위는 아랍에미리트로 시간당 110.0회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 3위(87.0회/hr), 싱가포르 7위(74.8회/hr)로 집계됐다. 항만단위에 있어서는 부산항의 선석생산성이 시간당 85.9회로 전체 672개 항만 가운데 14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랍에미리트의 Jebel Ali항과 Khor Fakkan항은 각각 시간당 118.7회와 100.2회로 1위와 4위를 차지해 국가 및 항만단위 모두 선석생산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국의 Yantian(99.5회/hr, 4 위), Qingdao(93.0회/hr, 7위), Guangzhou(91.9회/hr, 8위) 등 중국 주요 항만의 선석생산성이 대부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심항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초대형 선박(8천TEU이상)에 대한 선석생산성 결과에서는 부산항이 시간당 99.2회로 전체 비교항만 중 16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랍에미레이 트의 Jebel Ali항이 시간당 150.7회로 1위를 기록했으며, Dalian항(123.4회/hr, 3위)을 비롯한 중국의 주요 6개 항만이 상위 10위권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터미널별 선석생산성에 있어서는 모든 선형을 대상으로 할 때 상당수 중국의 주요 터미널 이 높은 선석생산성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총 672개 터미널 가운데 상위 20권 내에 중국의 주요 터미널이 9개나 포함되어 있었으며, 부산항의 경우에는 PNIT(신항1부두)만 이 세계 20위권을 기록하는데 머물렀다. 8,000TEU급 이상 초대형선에 대한 터미널 선석생산성 에서는 우리나라 터미널은 20위권 이내에 단 1개의 터미널도 포함돼 있지 못한 실정이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역장비(C/C, Y/T, T/C) 연계작업, 장비투입대수에 따라 선석생산성은 많은 영향을 받게 된 다. 하역장비간 연계작업의 경우 본선작업에 투입되는 안벽크레인(C/C)을 Y/T, T/C가 원활하 게 지원작업을 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부산항의 경우 이러한 연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장 점검이 필요하다. 또 부산항이 타 항만에 비해 선석생산성이 낮은 이유는 선박 하역작업에 투입되는 C/C대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세계 주요 항만의 선석당 C/C 대수는 평균 4.0대 가량이나 부산항의 경우에는 3.3대 에 불과하여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부산신항이 개장한 ’06년 이후 안벽크레인에 대한 추가 투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의 초대형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선박당 하역물량도 크게 증가 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선석생산성이 향상되지 않으면 선박의 대기․체선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정부는 항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선사의 부산항 기항 선호 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선석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허브항만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선 8,000TEU급 이상 선박에 대한 선석생산성을 향상시킬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항만운영능력(선석통합 등)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하역시설 을 확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