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계, 금융권의 공동체 인식이 앞서야

 
2018년 새해 한국 해운산업은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할까.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이윤재 한국선주협회 회장은 올해를 한국 해운산업 재건 원년의 해로 삼고 모든 역량을 총동원할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최대 해운사 한진해운 파산이후 한국 해운업계 위상은 추락했고 갈피를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해운인들은 부글 부글 속을 끓여야 했다. 한진해운이 망했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을 정도로 있을 수 없는 일이 터진 것이다.
정부나 금융권에서 해운산업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치 못하고 홀대해 온 결과물이 된 셈이다. 그러나 한진해운 파산은 경영 부실과 함께 정부측의 해운에 대한 인식 부재에서 온 큰 실정(失政)이었음은 분명하다.
새정부들어 이같은 점을 인정하고 해운산업 살리기에 팔을 걷어 부치고 있다. 해운업계로선 기대반 우려반이지만 장기 불황이었던 해운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2018년은 재건의 기틀을 반드시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지난해 출범한 한국해운연합(KSP)와 올해 7월 발족할 한국해양진흥공사 등이 한국 해운업 명운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프로젝트 사업이고 주요 정책이다.
한국 해운산업 재건을 위해 한국선주협회는 대 국민 홍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치인들의 바라보는 해운에 대한 인식부터 변화돼야 한다는 점에서 대 국회 홍보 활동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해운산업이 보다 견실한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법적인 보호막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더욱 더 중요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이다. 통수권자가 해운산업에 쏟는 열정 여부에 따라 정부당국자들의 인식차가 크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부산을 거점으로 성장한 정치인 출신인데다 거제가 고향이다. 바다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대통령이다.  특히 사적이지만 동생이 한국해양대 항해학과 출신으로 S某사 벌크선 분야에 근무하고 있다.
그러기에 해운업계는 새정부의 해운 정책에 상당한 기대를 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 해운업 정책 부재의 화근이 한진해운 사태를 불러온 것을 잊지 못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에서 부터 줄곧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획기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문 대통령의 약속이 이행될 시 해운업계로선 천군만마를 얻는 셈이다.
해양수산부 등 관계당국의 획기적인 지원시책이 수행되고 해운기업들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금융권이 문턱을 대폭 낮춘다면 올해 한국 해운산업 재건을 다지는 것은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수출화물의 99.7%를 실어나르는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간산업이며 안보산업이라고 부추기면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해 해운인들은 정치적을 희생되는 해운산업을 지켜보면서 탄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통적 선진 해운국을 비롯해 중국 등 신흥 해운강국들은 해운산업 육성에 발벗고 나서고 있다. 대표적 글로벌 산업인 해운산업이 위축될 시 국가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다는 점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의존도가 세계에서 꼽을 정도로 높은 한국경제야 말로 해운산업의 역할 증대는 절실한 것이다.
실타레를 풀어가 듯 하나하나 현안들을 해결해 나가면서 해운업 회생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새정부의 통 큰 해운산업 지원정책이 현실적으로 절박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