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4주기 보낸 해운업계는 착잡하기 그지 없다. 사고 당시를 회상하면 가슴이 너무 아프다. 아울러 세월호 사고로 인해 해운업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차가운 시선은 더욱 안타깝기만 한 것.  제 2의 세월호 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해운계, 해수부, 관계기관들은 더욱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세월호로 인해 해운업계내에선 안전이란 단어가 무엇보다 화두가 돼 왔고 해운경영에서 안전은 최우선 현안이며 과제가 됐다. 물론 그 이후 해상사고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연안, 한중, 한일 카페리업계에는 거센 바람이 불었고 해수부 등 관련부처나 기관에선 행정업무의 최대 숙제가 ‘안전’이 돼 버렸다.
세월호 사고로 한국해운조합의 여객선 안전관리 업무가 선박안전기술공단으로 이관된 것도 눈에 띈다. 해운조합은 세월호 사고로 인해 조직이나 업무의 큰 변화를 맞게 됐고 아픈 상흔(傷痕)이 아직도 역력하다.
세월호 사고이후 행정기관에서 가장 주목을 받았고 현재도 진행중인  곳이 해양수산부다. 바다를 책임져야 했던 해수부로선 세월호 사고는 너무 버거운 사건이었다. 이에 연루돼 장관과 차관 출신이 구속된 상태이다. 또 소위 해피아라는 단어가 등장하면서 해양수산부 고위관료 출신들의 행보에 큰 장애물이 되어 왔다. 해수부 고위관료 출신들 사이에선 제 2 인생의 길을 찾는데 무언가가 90%를 차지(?)한다는 얘기가 회자되기도... 그만큼 세월호 사고는 해수부 공무원들에겐 돌이킬 수 없는 깊은 연(緣)이 된 것.
현정부들어 해수부 고위 관료 출신들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한 일. 세월호 4주기를 보내면서 이제는 능력있고 덕망있는 해피아들이  불가항력적인 일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공평하게 제 2인생의 길을 걷도록 하는 것도 큰 과제 중의 하나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