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재건과 연계 시장논리, 대외 신인도 모두 고려해야

 
한국 해운 재건 사업에 있어 풀어야 할 과제들은 산적해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적원양 컨테이너선사인 현대상선을 하루속히 글로벌 상위그룹 반열에 올려놓는 정책지원이 필요하고 한진해운 파산이후 운명적으로(?)  탄생된 SM상선의 경영정상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진해운이 붕괴된 이후 현대상선에 쏠리는 국내외 시선은 뜨겁기만 하다.  현대상선이 견실한 재무능력을 가져서도 아니고 영업실적이 좋아서도 아니다. 한때 5대 해운강국에 속했던 대한민국으로선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원양 컨테이너 정기선사 한 곳은 있어야 한다는 정부나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 집약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출범시켜 우선적으로 현대상선 지원에 나서고 있다. 물론 현물출자로 시작하는 해양진흥공사가 당장 지원할 자금을 충분히 쌓아 둔 것은 아니다.  대(對) 국적선사의 신조 등 안정된 지원을 위해 해양진흥공사측은 공사채 발행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대상선과 함께  국적 원양 컨테이너선사의 길을 걷고 있는 SM상선의 상황은 열악하다.  한진해운 파산이후 한진해운 미주 및 아주 노선 컨테이너사업부문을 인수한 SM상선은 지속되는 정기선 시황의 침체와 신생기업이 겪어야 될 기존 선사들의 견제 그리고  현대상선의  공동운항 등 협력체제 구축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 등에 고전하고 있다. 현대상선 입장에선 SM상선을 파트너로 받아들이는데 있어 제약 요인이 많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생 선사로서 SM상선은 운신의 폭이 여전히 좁다. 중국 선사들의 반대로 황해정기선사협의회에 아직 가입치 못하고 있다.

SM상선은 한진해운 항권이나 일부 자산을 인수할 시 분명 그룹 차원의 정기선 컨테이너사업에 대한 크나큰 포부가 있었을 것이다. 우오현 SM그룹 회장은 대한해운, 삼선로직스(현 대한상선)를 차례로 인수하면 부정기선 분야에서 성공적인 M&A를 단행했다.
이같은 추진력에 해운업계에서는 SM상선의 출범에 큰 기대를 걸 수 밖에 없었다. 물론 부정기선 사업 경영과 정기선 사업 경영은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정기선 컨테이너사업은 선박 확보와 함께 컨테이너기기 확보, 전용 터미널 보유, 경쟁력있는 전산시스템 구축 등 신경 쓸 부문이 부정기선쪽과는 비교가 안된다. 직원수도 몇배 더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정기선 사업의 특성을 우오현 회장이 모르고 있었을 리는 없다는 것이 해운전문가들의 지적이다.
M&A의 귀재로 통한 우오현 회장 입장에선 한국 해운사에 있어 한 획을 긋는 한진해운 미주, 아주 노선 사업권 인수와 대한해운, 삼선로직스 인수를 통해 SM그룹 주력사업을 해운업에 맞추려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만큼 해운업 경영에 대한 열정이 대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 침체를 보이고 있는 정기선 시황은 SM상선의 조기 경영정상화의 기운을 꺾고 있다.
김칠봉 사장을 위시한 임직원들이 한진해운 이상의 선사로 키우기 위해 혼신을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정부의 시책이나 주위 환경이 SM상선에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어서 더욱 힘든 상황이다.
정부나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국적 원양 컨테이너선사 한 곳을 지원하게 된다면 현실적으로 현대상선을 택할 수 밖에 없는 여건이다.
이에 SM상선의 향후 경영 노선이 어떤 방향타를 가질 지 주목된다.  SM상선은 한진해운 임직원들 상당수를 고용 승계하고 세계 최고 수준급의 전산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어 정책적인 지원이 형평성을 갖고  시행되고 그룹차원의 해운사업 지원이 지속될 시 그 성장세는 조만간 가시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부나 금융당국이 SM상선을 국적 원양 컨테이너선사 육성차원서 새로운 지원책을 마련하지 않을 시 SM상선의 경영은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해운전문가들의 중론이다. 해운전문가들은 한진해운 파산이후 SM상선에 대한 국내외 관심도는 매우 높다고 밝히고 있다. SM상선이 성공적인 안착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국적 원양정기선사로 성장치 못할 시 외국 선사나 화주들의 시각은 한국해운업에 매우 부정적일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SM상선은 한국 해운 재건에 있어 큰 시험대가 되고 있다. 정부가 SM상선의 탄생을 시장논리로만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또다른 측면을 들여다 볼지 여부가 관건이다.
현대상선은 유창근 사장 지휘하에 글로벌 상위그룹 선사로 발돋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SM상선도 신생기업으로서 한국 해운사에 한 획을 긋기 위해 진력하고 있다. 정부의 SM상선에 대한 확고한 의지 표명이 절실할 때다.  한국 해운산업 재건과 SM상선의 진로는 상당한 상관관계로 연계돼 있다는 점 충분히 고려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