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 위상 일반 산업 범주 이미 넘어"...정부주도 육성 필연성

 
3월초 부처 개각이 있을 예정이다. 내년초 총선에 나설 일부 부처 장관들이 거론되면서 해운업계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김영춘 해수부 장관이 총선 출마를 공개적으로 언급, 차기 해수부 장관 유력 후보들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시되는 인물은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양수 해양수산부 차관이다. 물론 여러 주요 인사들이 후보군에 있지만 메이저 일간지나 방송사에서 두 후보로 압축해 놓고 있는 상황이다.
차기 해양수산부 장관은 전문성이 뚜렷한 인물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해운 재건사업이 진행중이지만 글로벌 해운시황의 더딘 회복과 환경규제 등 해운업계를 부담스럽게 하는 요인들로 인해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제대로  빛을 보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물론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출범하면서 국내 최대 원양 외항선사인 현대상선을 특별관리하며 지원하고 있고 중소, 중견선사들의 선박 확보, 친환경 대체를 위한 자금지원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2017년 2월 국내 최대선사이며 세계 7위의 컨테이너선사였던 한진해운의 파산은 한국 해운산업을 벼랑끝으로 몰아넣었다.  한진해운의 파산 선고는 한국 해운史에 가장 큰 상흔을 남기고 있다.
예상은 했지만 현대상선이 지난해 576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정부당국이나 업계는 큰 실망을 하고 있다.

특별관리하에서 혈세를 쏟아부으며 현대상선을 재기시키려는 노력들이 무색케 됐기 때문이다. 다행이라면 현대상선의 작년 4분기 영업손실 폭이 전년동기보다 줄었고 작년 한해 매출은 증가했다. 컨테이너화물 수송실적도 전년보다 늘었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발주한 친환경 초대형 선박(20척) 인도 시(2020년 2분기부터 순차적 인도)까지 화물 확보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는데, 그 실현성은 어떤가.  기간항로 선사와 근해항로 선사간 협업 극대화는 어떤 방식에서 도출될 수 있는가.   수익성 우선 시책으로 항로 재편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통적 해운경영에서 탈피한 4차산업 혁명과의 접목은 어떤 수순을 밟아야 하는지 등 풀어야 숙제들이 너무 산적해 있다. 숲과 나무를 동시에 아우르는 분석능력을 갖춘 해수부 장관을 업계는 요망하고 있다.

국내 해운업계의 최대 이슈 중의 하나는 장금상선과 흥아해운 컨테이너 정기선 사업부문 통합이다. 이제는 통합보다는 장금상선이 어떻게 흥아해운의 컨사업부문을 합병하느냐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당국이나 해양진흥공사측이 절대절명의 위기에 빠져있는 한국 해운업계를 다시 중흥시키기 위해 올인하는 시책이 장금과 흥아 컨사업 부문의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양사간 견해차가 크지만 결국 합병 형태로 새 법인이 탄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금력에 있어 크게 앞선 장금은 흥아의 아시아역내 네트워크와 영업인력을 보강해 시장점유율에 있어 한층 공고히 하는 통합 전략을 강구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 해운산업이 재건키 위해 모든 역량을 결집하고 있지만 뜻대로 되는 것만은 아닌 상태다.  정부시책에 대한 선사들간의 견해차가 크고 형평성에 있어 불만의 목청도 높다.
우선 세계 해운 시황이 장기 침체에 빠져 있고 글로벌 상위 그룹 선사들의 과점화하는 점유상태가 국적선사들의 입지를 갈수록 약화시키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 해운업이 다시 기지개를 펴기 위해선 정부 당국 주도의 획기적인 제도적 지원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는 무엇을 뜻할까.
차기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운산업의 현안들을 꿰뚫고 있는 인물이 임명돼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진해운이 왜 몰락했고 현대상선의 경영악화는 왜 지속되는지 그리고 통합 시책이 제대로 진척되지 않는 지를 올바로 진단하고 해법을 제시할 정도의 해운 지식이 있는 인물이 해양수산부의 수장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현 정부가 해운 재건사업에 큰 비중을 두고 시책을 펴 나가고 있지만 국적선사들이 현실적으로 체감하는 정부 지원의 온도차는 상당히 괴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노력만으로 해운 재건사업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청와대, 기획재정부, 금융당국 등이 해운산업의 어려운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속있는 시책들이 집행돼야 하는데, 선사들의 입장에선 크게 피부로 와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해운산업은 이제 산업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국가간의 글로벌 경쟁의 최전선에 위치해 있다.   국적선사들이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선 선사들 개개의 장점을 살린 지원책을 모색하는 한편  자본력과 IT기술 측면에서 정부주도의 획기적인 제도적 개선과 육성시책이 발굴돼야 한다. 해운업계의 재건 해법은 해운전문가들이 가장 적시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해운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해운 재건 시책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차기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운전문가 이상(?)의 실력을 갖춘 인물이 임명돼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