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송장을 온도크 체계로 전환...컨테이너장치장 확보 필요

▲ 사진 출처: 대한민국 정책정보지 공감
항만-철도복합물류관련 인프라(TKR) 구축 이후 주도권을 중·러 물류기업 혹은 글로벌 물류기업에게 빼앗길 수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형복합물류기업을 육성하고 국내 발착 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국제 복합운송인이 활동할 수 있는 매력 있는 기업여건 구축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KMI에 따르면 글로벌 무역시장에서 세계 인구 및 에너지 자원의 약 75%, 세계 총 생산의 60%를 차지하는 유라시아지역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유라시아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철도물류 중심국가인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을 포함하는 유라시아경제연합(EAEU)과 중국 등 주
변국과의 FTA협정 체결 등을 통한 무역확대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정부는 철도화물 유치를 위한 보조금 지급 정책 등으로 철도의 운송비용뿐만 아니라 운송시간도 30~50% 정도 단축시켜 철도운송의 경쟁력을 향상시켰다. 이 영향으로 중국발 유럽향 화물 열차 편수가 2011년 17대에서 2018년 6천대로 지난 7년간 약 350배 증가했고, 국제철도연합(UIC)은 철송물량의 급증세가 2027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라시아 대륙철도 연계 필수조건인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가입, 한반도 평화‧협력 분위기 조성으로 철도를 이용한 유라시아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지만 한반도종단철도(TKR) 복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TKR 단절구간 복원 및 북한철도 개량에 많은 시간 및 비용(37조 8천억 이
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최근 미국과 북한 간 협상지연으로 TKR 복원사업이 주춤하고 있는 실정이다.
TKR복원까지 유라시아대륙철도를 연계한 물동량 유치를 미루는 것은 현재 유라시아 철도물류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 러시아 등에게 주도권을 내어줄 뿐만 아니라 향후 TKR이 복원된 후 우리나라 항만에서 대륙철도로 연계되는 물동량까지 빼앗길 위험성이 있다. 이에 TKR 복원 전에 부산항 등 우리나라 항만을 통해 러시아, 중국 항만으로 해상운송 후 대륙철도를 연계하는 해륙복합운송으로 유라시아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을 운송하는 A사는 중국 천진항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까지 해상운송보다 운임은 약 30% 비싸지만 운송시간이 20일 정도 단축되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 기반 해
륙복합운송을 이용하고 있다. 실무전문가 설문조사결과 일본에서 유럽으로 가거나, 중국에서 러시아를 통해 유럽으로 가는 물량의 20~30% 정도가 우리나라 항만을 통해서 러시아, 중국 철도와 복합운송돼 유럽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어 이러한 시장을 중심으로 해륙복합운송 체계 구축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항만으로 해상운송 후 대륙철도로 연계하는 해륙복합운송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항만과 철송장이 분리 운영되고 있어 철도운송 물량을 확보해 해륙복합운송으로 연계하는데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대륙철도 이용 시 중국, 러시아
등 국가 간 상이한 철도시스템으로 환적이 불가피하여 운송 지연이 발생하고, 철도 노후화 및 유라시아 지역 특성 상 화물파손 문제가 야기된다. 셋째, 중국, 러시아 대륙철도 이용 시 통관서류 복잡성, 자국화물 우선발차, 성수기 화차부족 등으로 인한 정시성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만과 대륙철도 연계를 통한 유라시아 물동량을 유치하기 위해선 첫째, 국내항만과 철도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철송장을 온도크(on-dock)체계로 전환하고 철송장에 충분한 컨테이너장치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으로 해상운송 후 TCR, TSR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환적 인프라 개선 작업이 요구된다. 셋째, 중국, 러시아 등의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화물이 정시출발이 가능하도록 국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국내에 항만과 대륙철도 연계를 전문으로 하는 국제복합운송인과 대형복합물류기업을 육
성하고, 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정보, 금융, 언어 등의 지원체계를 갖춘 항만도시를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