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 시 정부, 헤운물류업계 비상사태 대비해야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춘제 연휴기간이 연장되기는 했지만 중국 현지 귀향 모습은 작년과 판이합니다. 우한은 물론이고 타지역도 귀향을 꺼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는 단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공포감을 방증하고 있다.

산업계가 초비상인 상황에서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 폐렴)에 해운물류업계는 더욱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사태가 장기화될시 해운물류업계는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게 될 것이란 지적이다. 한진해운 파산은 한시적 물류대란으로 끝났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는 자칫 해운물류업계의 근간을 흔드는 재앙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는 공포감이 휘몰아치고 있다.

세계 공장이며 공급망 허브인 중국과의 물류 단절은 엄청난 후유증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행히 이 사태가 몇개월 단기전으로 매듭지워지면 해운울류업계가 자쳬적으로 소생할 기미가 있지만 장기화될 시 정부는 해운물류업계 생존을 위한 비상사태를 선포해야 한다는 목청이 높다.

해운 재건사업 몇배를 보태는 한국 해운물류업계의 위기 탈출을 위한 국가 안보차원의 획기적인 대책이 화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업계 관계자들은 강조하고 있다.

자칫 한중항로에 국한된 위기의식이 아닌 전방위적 생존전략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한중카페리선사들은 이미 정상적인 영업이나 운항 일정으로 부터 손을 놓고 있는 상태다. 춘제 연휴기간이 2월 9일까지 연장된 상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중국은 물론이고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악화일로이기에 업계는 초긴장하고 지켜보고 있다. 현실적으로 정부나 업계나 어떻게 손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에 더욱 안타깝기만 하다.
문제는 정기항로 컨테이너선박들이 텅빈채로 운항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해운 시황이 침체돼 있는데다 IMO2020 시행에 선사들의 운항비용은 예상보다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저유황유 가격이 급등해 운항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화물마저 급감하면서 해운선사들은 그야말로 곤혹스러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나라로선 해운물류업계 최악의 사태를 대비해 비상 지원체제를 조속히 가동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청와대든 국무총리실이든 컨트롤타워 지휘하에 일사분란한 지원 시책이 단행돼야 할 것이다.  최악의 해운환경하에서 국적선사, 한중카페리선사, 국내 포워딩 등 물류업계의 유동성 악화를 최소화하는 초저금리 자금 지원부터 실행에 옮겨야 한다고 해운전문가들은 강조한다.

해운 시황이 급속히 침체되면 선사로선 생존을 위해 가장 절실한 것이 유동성 확보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같은 위기상황에서  해운시장을 더욱 악화시키는 괴소문의 단절과 함께 운임덤핑 등을 발본색원하는 강력한 정책 집행이 화급히 작동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