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의 몰락, 책임론 급부상..전화위복 새 틀 조속히 짜야
8월 30일은 국내 해운史에 비운의 날로 기록될 것이다. 국내 최대 선사인 한진해운이 실질적인 파산선고를 받은 날이기 때문이다. 설마했던 일이 현실로 다가왔을 때 해운인들은 안타까움에 어쩔줄 몰라했다.
정부당국이나 채권단은 해운업에 이토록 매정한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 물론 한진해운의 재무구조를 보면 추가 지원이 있다하더라도 심각한 불황 등을 감안할 시 회생이 불가하다는 판단이 설 수 밖에 없다는 논리도 이해가 된다. 하지만 한진해운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글로벌 선사로 파산선고를 내릴 시 17조원이라는 어마어마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선주협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선 주장해 왔다.
그러나 대우조선해양과 같은 기적은 한진해운에겐 주어지지 않았다.
한진해운의 몰락에 대한 책임론이 앞으로 화두가 될 공산이 크다. 일각에선 해양수산부는 한진해운 사태에 직무유기한 것이라고 강력히 비난하고 있다. 해수부의 능력한계를 익히 잘 알고 있었지만 이토록 무능한지는 진정 몰랐던 것.
최은영 전 회장을 비롯한 한진해운 경영진들은 법정관리행이 확정될 시 무한한 책임 부담에서 빗겨갈 수 없다. 특히 한진그룹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다고 해도 해운산업 재활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입장을 표명했는데, 이는 어떤 의도에서 비롯된 것인지 재차 묻고 싶다. 조양호 회장은 한진그룹 회장으로서 한진해운의 치욕의 날 8월 30일을 잊어선 안된다. 한진해운 사태로 한국 해운산업은 대내외적인 이미지 추락은 물론 국가경제에 심대한 피해를 줄 것은 불보듯 뻔하다.
이와함께 한국선주협회도 책임론에서 빗겨갈수는 없을 것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선주협회가 한진해운을 살리기 위해 발벗고 나섰던 것은 분명하지만 국내 최대 해운사인 한진해운의 붕괴에 누군가는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는 것. 해운산업 유일한 국책연구소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도 분명 책임 추궁이 들어갈 것이다.
한진해운 사태를 지켜보면서 한국 해운정책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와 함께 한진해운이 빠진 한국 해운업계의 재기를 위한 튼실한 새 밑그림을 조속히 그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 해운업계가 한진해운 사태로 사기가 땅에 떨어진 만큼 정부당국, 금융권은 조속한 후속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한진해운 사태가 전화위복의 계기가 되도록 해운인들이 똘똘 뭉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