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대란속 해수부 존폐논란 재연과 차기 해수부장관 회자(膾炙)!?
한진해운발(發) 물류대란은 한국해운업계의 신인도 타격은 물론이고 국가 이미지에 큰 상흔을 남기고 있다. 전대미문의 글로벌 물류대란을 촉발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행(行)은 무능한 해양수산부의 존폐 논란과 함께 해운항만 기관장들의 능력 평가의 장을 마련해 주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김영삼 정부시절 새로 발족됐다 이명박 정부시절 폐지됐다. 이후 국토해양부에서의 해운분야 홀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다시 부활한 경제부처다. 해양수산부의 부활은 해운인들의 염원이기도 했다. 하지만 한진해운 사태를 지켜보면서 해양수산부의 역할의 한계와 무능력의 극치는 업계내에서 다시 해수부 존폐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물론 해양수산부의 존치에 큰 무게가 실리고 있지만 해운산업을 관장하는 새 부처의 출범을 주장하는 쪽도 만만치 않은 것.
아울러 이번 물류대란은 부산항만공사를 비롯해 해운항만 관련 공기업, 기관 수장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시험대가 되고 있다는 지적. 벌써부터 某 공기업 사장은 차기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감으로 회자(膾炙)되기도 해 눈길.
너무 예상치 못한 큰 사건이라 해법을 찾기가 고난의 길이다. 한진발 물류대란은 해운, 무역업계간 깊은 상생 관계를 적나라하게 방증하고 있어 정부나 경제계에서 해운산업을 보는 시각도 크게 달라지리라 본다.
깊은 상처를 남길 이번 물류대란이지만 한편 해운산업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새로이 각인시키고 공기업 사장, 기관장들의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