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해운 재건,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마음가짐으로...
정부의 주도이든 선사의 자발적 구상이든 한국해운연합(KSP)의 출범은 현실적으로 한국 해운 재건을 초점으로 하고 있다.
정태순 장금상선 회장이 한국해운연합 회장을 맡고 이환구 흥아해운 부사장이 간사를 맡아 진두지휘하고 있는 모습이다.
출범 초기인지라 다소 어색할지도 모르지만 한국해운연합이 14개 국적 컨테이너선사가 참여했다는 점만도 한국해운사에 큰 획을 긋는 대 사건이다.
대내외적으로 삐걱거림이 있고 외풍이 있겠지만 한국해운연합의 성공적 런칭은 한국해운의 부활을 위해선 절대절명의 과제다.
원양선사와 근해전문선사간 이견도 있을 수 있고 상위랭킹 선사와 중위, 하위권 선사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될 수도 있는 한국해운연합의 추진방향은 민관이 힘을 모아 반드시 좋은 결실을 거둬야 한다.
한국해운연합 출범의 결실은 곧바로 향후 국적선사간 통합문제 등에 있어 청사진을 갖게 할 것이다. 글로벌 유수선사들사들은 M&A를 통해 몸집을 키우고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고 있지만 국적선사들만은 인수합병에 있어 매우 인색한 점이 있다. 하지만 현대상선이 산업은행 자회사로 계속 성장할 수 만은 없는 상황이고 SM상선의 현 규모로는 통합 주체가 되기는 아직 이르기 때문에 일부 해운전문가들은 중견 해운사, 항만운영사 등이 참여하는 국민주에 의한 합병 주도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이제 단순한 이해관계를 떠나 한국 해운의 건전한 재건을 위해 중지를 모을 때다. 여러 방안들의 제안을 받아 해양수산부, 선주협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민관 전문가들이 면밀히 검토하고 원로 해운인들의 고견을 지속적으로 경청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