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현겸 팬스타 그룹 회장(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

2017-11-14     쉬핑뉴스넷

"해운업 각분야의 중요성 재인식 절실한 국내 금융당국"
대한민국 국격(國格)에 맞는 선박건조에 정부 힘실어 줘야

 


▲ 김현겸 회장
“해운산업이 바다에 대한 개척적인 도전정신과 역경을 이겨내며 모드 쉬프팅(Mode Shifting)하던 시절은 아득한 옛 추억같은 음율로 사라지고 지금은 규모의 경제와 금융자본이 치열한 자유경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치킨게임, 또 한편으론 그 와중에서도 이합집산을 거듭하는 완전경쟁의 불루오션이 돼 가고 있습니다”
김현겸 팬스타 그룹 회장(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은 최근의 해운산업의 움직이는 동향을 이처럼 피부에 와닿게 표현했다.

김 회장은 또 “이러한 해운업 중에서 바다의 고속도로, 그 중에 바다의 기차가 바로 정기선 입니다. 부정기선이 택시업이라고 한다면 정기선은 시간을 맞춰 수요공급보다 항상성을 유지하는 지하철로 비유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우리나라의 국제 정기해운업은 국가의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지 않는다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물론 국제무역질서에 반하는 과도한 지원은 당연히 제약하고 감시해야 할 것이지만 국가자원의 해외 고속도로 확보차원에서 정기해운업의 존재와 육성은 당연한 주권 국가의 권리일 것이라고 김 회장은 밝혔다.

“미국이 컨테이너의 시초인 시랜드 등 정기선사를 시장에 매각한 이유 중의 하나가 전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다시피한 통제경제를 배격하고 자유시장경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가장 엄격한 공정거래법을 운영하는 이유였을 것입니다. 컨소시엄이란 화려한 명분으로 뒤에서 이루어지는 담합행위를 간과할 수 없었기 때문이 아니였을까요” 김 회장은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미국 해운정책과 공정거래법을 통해 현 해운업계의 실정에 대한 경각심을 주문하고 있는 듯 했다.

덧붙여 김현겸 회장은 세월호 참사이후 우리나라 금융권의 여객선 분야에 대한 과도한 기피성에 일침을 가했다. “저희가 최근 LNG추진선으로 '리조트, 크루즈, 요트 페리'의 컨셉을 가진 수익이 담보되는 여객선을 신조키 위해 일본 디자이너와 설계를 끝내고 한국과 일본의 조선소 선정과정에서 한국 조선소를 내정해 한국 금융권과 지속적으로 접촉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이 세월호 이후 금융위원회의 지침으로 여객선에 대한 금융지원을 내규로 막아 논 산업은행의 방침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추가해서 산업은행은 여객선 건조에 대한 금융을 공식적으로 해 본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대내적인 문제와 더불어 사업성의 분석도 중요하지만 매출채권의 확보를 위해 부정기선처럼 거래 기업으로 부터 적어도 5년간의 COA를 받을 수 있냐”는 정말 어처구니없는 조건을 정기선사이고 여객선사에게 되묻고 있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산업의 유치단계에서 금융의 지원이 한국경제의 발판으로 작용해 발전해 온 우리나라에서 거대자본이 들어가고 산업적인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으며 소비적으로 까지 보이는 여객선에 대한 지원이 없었던 것은 인적해난 참사의 원인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견해를 밝혔다.

‘일본의 관료들과 만나서 우리 신조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애로사항을 물을 때 세월호 때문에 금융기관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밝히면 그들이 되려 화를 냅니다. 국가가 무엇을 하고 있냐고요... 일본의 중고 선박을 매입해 놓고 관리를 잘못한 반성은 없이 일본서 만든 선박이라고 대대적으로 알리는 황당한 보도에 분해하는 이들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일본 배를 사지 말고 한국에서 안전하고 좋은 배를 지으면 될 것이고 그런 기능을 갖도록 국가가 앞장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김 회장은 산업의 순환이 유치산업단계에서 안정기를 거칠때 까지가 가장 리스크한 싯점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해양연맹 총재인 김현겸 회장은 “한국 국적선을 도입한 이유가 침략의 바다였던 일본의 바다심장부인 세토내해를 태극기를 휘날리며 다니겠다는 일념이었다”고 밝히면서 “이제는 한국에서 지은 멋진 배로 대한민국의 국격(國格)에 걸맞는 시설을 자랑하고 다니고 싶은 것이 제 최근의 큰 소망”이라고 밝혔다.

[만난사람=정창훈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