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선사 CEO들, 2020년 환경규제 대응 결과에 희비 엇갈릴 듯(!?)
2020년 황산화물 환경규제를 어떻게 지혜롭게 대처하느냐가 해운선사들의 또다른 숙제다. 해운시황 회복이 지연되고 벙커C유 가격은 급격히 올라 갈수록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운선사들은 숨고르기할 틈도 없이 환경규제 대응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곧 맞게 되는 셈.
이제 1년 4년개월여 남은 기간은 저유황유를 선택할지, 스크러버를 장착할 지 아니면 LNG 연료선에 투자할 지 골몰할 시기다. 해운선사들의 생존의 갈림길이 될 수도 있어 CEO들은 그 어느때보다 직접 정보 입수 및 타선사 동향에 촉각을 세우는 듯 하다. 한국 해운 재건에 나선 우리 정부로선 국적선사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보력을 총동원해 지원해야 하는 상황에 부딪히고 있다. 한국해운연합(KSP),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출범시킨 현 정부가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에 슬기로운 정책을 제시한다면 금상첨화(?)가 아닐 수 없다.
엄경아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황산화물 환경규제는 선박시장에서 확실한 청소부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기본적으로 선박투자의 ‘자본비’ 차이가 큰 시장에선 선박원금의 은행상환이 끝난 선박과 끝나지 않은 선박의 원가경쟁력 차이가 운임 형성에 큰 영향을 줬으며 자본비 부담이 없는 선박들이 저운임 영업을 하면 효율 좋은 젊은 선령의 배가 화물을 낙찰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생겼다”고 밝혔다.
하지만 향후 연료비 부담이 자본비 부담차이를 앞지르게 될 시 자본비 상환을 마친 노후선의 이점이 점점 사라지게 된다는 것. 친환경 선박과 비친환경 선박의 운임은 이미 벌어지기 시작했고 설비투자로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선박들이 화주의 선택을 받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고, 노후선박의 퇴출 속도가 빨라질 것이므로 급변하는 해운환경에서 선사들간의 경쟁력은 더욱 격차가 날 것으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