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운사(史)와 국적선사 개개 역사 집필의 새 지표 필요한 시점!!!
한국해운사(史)에 대한 집대성 작업은 어느 수준일까? 국적선사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해운기업 역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시점에 와있다는 지적이 있다.
우리 해운선사들의 흥망성쇠(興亡盛衰)를 해부함으로써 해운강국의 기반을 더욱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
예를 들어 고려해운은 40여년간 흑자행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 왔는가를, 고려해운의 창립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의 역사를 각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집필함으로써 우리 해운史의 새 지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견해다.
또 국내 최대 벌크선사 팬오션의 전신인 범양상선의 태동과 법정관리, M&A 과정 등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면서 한 기업이 걸어 온 발자취를 고찰해 보는 것도 상당한 의미를 부여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국내 최대선사이며 세계 7위 컨테이너선사였던 한진해운 파산과 관련,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연구도 절실하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한진해운 역사를 집필하면서 노정되는 사건들을 철저히 분석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수준의 작품이 나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MM의 매각과 관련해 매각 자문사, 회계와 법무자문사가 선정됐다. 현대상선에서 HMM으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때마침 코로나시국을 맞아 사상초유의 영업이익을 시현한 HMM은 사실 준공기업화가 돼 버렸다. HMM은 단순한 세계 8위 컨테이너선사 위상을 뛰어넘은 상황이다.
일반 기업 매각과정과는 다른 시각으로 봐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선 HMM 역사에 대한 집대성이 필요하다고 해운전문가들은 언급.
우리 해운인들은 99.7%의 수출입화물이 배를 통해 운송되고 있다며 상당한 자금심을 갖고 있다. 무역강국의 견인역할을 해운산업이 해 왔다는 자부심도 꽤 크다.
팬데믹 이후 해운강국으로서 대한민국 해운산업을 새로이 조명할 수 있는 새 방향 설정에 정부, 업계, 기관, 학계 등은 결집된 지혜를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