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중카페리항로 컨화물, 전년대비 7.7% 증가...56만5443TEU 기록

-작년 한해 가장 많은 컨화물 수송 노선은 인천-석도...12월은 인천-청도 -12월 가장 높은 소석률은 인천-연운항노선

2025-01-15     쉬핑뉴스넷
사진 출처:위동항운 홈페이지

지난해 한중카페리항로 컨테이너화물은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선방한 것으로 보인다. 한중카페리협회에 따르면 2024년 1~12월 한중카페리항로 컨테이너화물은 총 56만 5443TEU로 전년대비 7.7% 증가했다.

가장 많은 컨화물을 수송한 곳은 인천-석도노선(왕복항차수 150.0)으로 전년대비 2% 증가한 5만 6666TEU를 기록했다.

노선별 컨화물 수송실적을 보면 인천-청도노선(150.5)은 5만3070TEU로 전년보다 14.6% 증가했다. 인천-위해노선(153.0)은 4만7663TEU로 8.3% 늘었다. 인천-연태노선(154.0)은 4만2779TEU로 9.9% 증가했고 평택-연태노선(150.0)은 4만3420TEU로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연운항노선(102.5)은 5만1021TEU로 0.2% 늘었고 평택-연운항노선(101.0)은 3만2677TEU로 5.8% 감소했다.

인천-진황도노선(101.0)은 3만3811TEU로 19.3% 증가했고, 군산-석도노선(148.0)은 3만6705TEU로 13% 늘었다.

평택-일조노선(146.0)은 5만128TEU로 21.2%나 신장했고 평택-영성노선(143.0)은 4만8669TEU로 2.7% 줄었다. 인천-대련노선(141.0)은 1만6442TEU로 11.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영구노선(88.0)은 1만6755TEU로 33.0%나 급증했고 평택-위해노선(151.0)은 3만5637TEU로 18.0% 증가했다.

작년 12월 한달 한중카페리항로 인바운드 점유율은 72.02%에 달했다. 12월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곳은 인천-청도노선으로 9.9%의 점유율을 보였다. 12월 한중카페리항로 평균 소석률은 51.19%이고, 가장 높은 소석률을 보인 곳은 인천-연운항노선으로 73.04%의 소석률을 기록했다.

인천-단동노선은 단동항 사정으로 휴항 중이며, 인천-천진노선은 중국 주주들간 분쟁으로 신조 카페리선 건조가 불가한 상황이어서 빠르면 1월 중 항권이 취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2024년 한해 한중카페리항로 여객수는 63만1201명으로 나타났다.

사진 출처:한중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연운항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연태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진인해운 홈페이지
사진 출처:석도국제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대인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화동해운 홈페이지
사진 출처:일조국제훼리 홈페이지 
사진 출처:영성대룡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