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신임 원장, 임시 이사회 통해 4월 중순 이전 임명될 듯...KMI, 해사분야 중심 연구기관으로 거듭나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차기 원장 후보가 3명으로 압축됐다. 응모한 외부 인사들을 제치고 KMI 조정희 경영부원장(선임연구위원), 박한선 선임연구위원, 정명생 명예연구위원 등이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3명 후보는 해양 전문가, 해사 전문가, 수산 전문가로 나눠졌다.
해운업계는 해기사 출신의 해사 전문가가 새 원장으로 임명돼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국내외 정치, 경제의 불확실성속에 미국의 SHIPS ACT, USTR(미 무역대표부) 제안 등은 해사안보 강화가 핵심임을 깊이 인지해야 한다.
IMO의 친환경 선박, 해기사 육성 등 해사분야의 전문성을 요하고 있다.
한국 해기사 부족과 외국인 해기사 확보 등은 시급한 해운업계의 과제다. 한국해양대+목포해양대 통합을 통해 글로컬대학 30 도전, 동삼동 해양클러스터와의 연계는 필수적이라는 것이 해운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격변의 시기를 지혜롭게 대처해야 한국해사산업의 기반을 지킬 수 있다.
해기사 출신 해사전문가가 KMI 신임 원장으로 선임돼야 한다는 요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2월 10일부터 19일까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신임 원장을 공모했다. 동연구회는 이사회를 통해 최종 면접을 거쳐 3월 17일까지 3명으로 압축한 뒤, 법무부와 국정원의 인사검증을 거쳐 4월 24일 정식 이사회가 아닌 임시 이사회를 통해 빠르면 4월 중순이전 신임 원장을 선임할 것으로 보인다.
KMI는 국내 유일의 해양수산 전문 국책 연구기관으로, 해양수산부가 아닌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KMI의 명칭은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해, 해운산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으로 바뀌면서 연구 영역도 해운에서 해양, 해운, 수산 등으로 확대됐다. 이에 해운산업 연구 비중이 설립 취지를 무색케할 정도로 축소된 것이 사실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해운, 조선 부흥을 위한 법안을 발의하고 강력한 드라이브 정책을 펴고 있다. 이로 인해 해운산업은 반사적으로 그 중요성이 새로이 부각되고 있어 주목된다.
해운업계는 KMI 신임 원장에 대한 기대치가 매우 높다. 우리 해운업계의 재도약을 위한 KMI의 특단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핵심적인 해사분야 연구 부재인 현 KMI를 혁신시킬 수 있는 신임 원장을 해운업계는 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