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내 젊은 공직자 타부처 이전 움직임 현실화...부산 이전 공식화에 동요(!?)

행정은 소재지가 아니라 행정의 내용 미치는 결과봐야

2025-07-01     쉬핑뉴스넷

이재명 신정부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대선 공약을 반대 여론이 심상치 않은 가운데서도 강공자세로 일관해, 결국 해수부가 1일 보도자료를 내고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을 공식화했다.

해양수산부는 부산 이전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존 “해수부 부산 이전 준비 TF”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으로 확대·개편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해양수산부 부산 연내 이전 방안을 마련하라는 대통령 지시에 따른 후속 조치이다. 추진기획단은 김성범 해수부차관을 단장으로 하고 이전총괄반, 제도지원반, 예산지원반, 정보화지원반의 4개 분과로 구성됐다.

추진기획단은 청사 확보 등 신속한 이전 준비와 함께 이전 직원의 주거·교육·교통 지원 대책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해수부 부산 이전이 불가피(不可避)한 상황에서, 해양수산부에 산업부의 조선, 해양플랜트 업무 기능, 국토부의 물류 업무 기능 일부를 이관하는 등 해수부 기능을 확대, 강화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목청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편 젊은 해수부 공무원들의 동요가 심상치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이목이 집중. 특히 해수부 여직원들이 심적 부담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세종시 타 부처로 옮기는 문제를 깊이 고심하고 있다는 것.

타부처로 옮기고 싶은 공직자간 소통을 위해 세종 정부 청사내 관련 사이트가 마련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최근 참여율이 매우 높다는 것.

이왕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게 된 이상 이참에 해양수산부가 그간 그토록 갈망했던 조선, 물류 업무 기능을 타부처로 부터 이관받는 작업 수순이 정식으로 공식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 시 함께 내려 갈 관련 공공기관들이 회자되고 있어 눈길. 하지만 노조 반대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돼 순조롭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운물류업기업 모 CEO는 "해양수산부가 갈라파고스가 돼 기능이 약화되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라며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우려를 밝혀  눈길을 끌었다. 행정은 소재지가 아니라 행정의 내용이 미치는 결과를 봐야 한다는 지적. 

사진 출처:https://gbm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