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정책에 선제적 대응, 합리적 결과 도출해야!!

정부, 물류대란 리스크와 민노총 강력 반대 등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2025-07-26     쉬핑뉴스넷
사진 출처:한국해양진흥공사 홈페이지

이재명 대통령은 24일 부산 모 행사에 참석해 가장 먼저 해양수산부 연내 이전을 챙겼다. 아울러 가능하면 해양 공공기관은 기본, 산하 기관까지 신속히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강조함에 따라, 전재수 해수부 장관 취임과 함께 예상보다 빠르고 폭넓게 부산 이전문제를 다루고 신속히 확정지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미 정부는 물밑에서 해운, 해양, 수산 관련 공공기관, 준공공기관, 산하 기관장들과 부산 이전문제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언. 업계 내에선 부산이나 지방 이전 대상 기관들이 벌써부터 회자되고 있는 상황.

업계 한 임원은 “새 정부는 HMM은 물론이고 여타 주요 해운기업들도 함께 이전시켜, 부산 집적화를 심도있게 논의할 만반의 준비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해운, 해양, 수산 관련 기관과 기업들은 새 정부 정책의 현실(?)을 받아들여 선제적으로 지혜로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

노조의 강력 반대, 직원 절대 다수의 반대 등의 논쟁은 무의미해진 상황에 직면한 듯 하다는 것.

하지만 이와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HMM은 국내 최대 선사이며 글로벌 8위 컨테이너 선사이기에, 민노총 노조의 강력 반대를 정부도 도외시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라며 "자칫 글로벌 물류대란 리스크가 조금이라도 있을 시 해수부에서 어떤 대처를 할 지 궁금하다"고 언급.

북극항로와 관련해서도 "북극항로 상업성은 사실상 기대하기 힘들다"며 "북극항로에 선사들이 배를 띄우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 화물이 없기 때문이다"고 지적.

이젠 해양수산부 등 관계 당국과 부산 이전과 관련된 당면 과제들을 선제적으로 풀어가는 강한 의지를 보일 필요도 있다는 지적. 오히려 정부측에 끌려가는 모양새보단 민간기업이나 기관이 주도(?),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 내는 것도 현실 문제에 적극 대처하는 자세라는 것.

답답한 마음이야 이루 말할 수 없지만 기관의 경우 새 정부 시책에 반대만 할 수 없는 입장이다. 문제는 민간기업의 부산 이전문제다. 확고한 방향 설정이 중요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