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강소대국으로 보다 확고히 입지를 굳히기 위해선 강력하고 개혁적인 해양입국을 향한 해양정책이 수립돼야 한다는 업계 한 관계자의 지적이 귓전을 맴돌고 있다.
해양입국을 위해 해운항만, 해양분야 단체 및 교육기관 등을 하나로 묶는 획기적이고 장기적인 비전을 담은 정책 추진이 화급하다는 지적이 나와 이목이 집중.
부산이 해양클러스터를 조성해 국내 최대 해양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주장이 표출돼 관심사다.
입지도 정확히 제시하며 해양대국의 꿈을 펼칠 수 있는 대형 선박을 형상화한 건물도 추천해 눈길을 끌었다.
일본의 해양입국 정책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해양정책은 너무 협소하고 장기적인 안목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경제부처 중 해양수산부의 예산이 불과 몇 퍼센트에 그치고 있다는 단면을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해양정책은 앞날이 어둡기만 하다고 일침.
국민들과 같이 호흡하며 해양입국을 꿈꾸고 다져나갈 수 있는 대대적인 정책적 변곡점을 언제 찾느냐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지금과 같은 해양정책을 지속할 시 선진국 대열에서 멀어지고 강소국가로서의 경쟁력은 상실하고 만다는 주장. 정책입안자들이 깊이 새겨볼 대목이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