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운조합 이사장이 세월호 참사이후 1년이상 공백상태에 있다. 직무대행체제로 언제까지 조직이 운영될지 모르지만 조속한 경영정상화가 요구된다. 세월호 참사로 가장 타격을 입은 해운관련 단체는 역시 한국해운조합이다. 여객선 안전관리업무를 결국 선박안전기술공단에 넘겨야 했다. 보통 자존심 상하는 일이 아니다. 책임을 통감하면서도...
결국 해운조합의 앞날은 공제사업 관건이다. 해운조합은 운영상 비정상적인 관행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비정상이 정상화를 위해선 공제사업이 보다 투명하고 경쟁력이 있었야 한다는 지적. 이사장 직제도 공모를 통해 일반 경영을 책임지는 이사장과 공제사업에 전념하는 이사장직을 별도로 둬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연안해운업계의 권익옹호를 위한 협회 기능과 공제사업 기능을 어우르는 인물이 새로 이사장에 선임돼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선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주무부서인 연안해운과의 해운조합에 대한 남다른 관심이 필요하다. 세월호 사고로 접근을 기피하는 공무원들이 있다면 하루속히 환골탈퇴해야 할 것이다.
- 기자명 쉬핑뉴스넷
- 입력 2015.07.24 09:3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