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중해운회담이 8월 26, 27일 양일간 중국에서 열린다. 이번 한중해운회담에선 카페리선사의 선령, 안전문제와 함께 컨테이너선, 카페리선 항로 개방 등이 또다시 주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이후 카페리선의 안전운항이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면서 한중카페리협회는 연구용역을 의뢰해 대책안을 강구하고 있다. 선령, 안전문제는 당장 카페리선사들에겐 심한 비용부담과 직결되고 있다. 중고선 운항이 주를 이루고 있어 제대로 된 요건들을 갖추기 위해선 카페리선의 신조(新造)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중국측에서 요구하는 선령에 안전요건을 갖춘 중고선을 찾기는 매우 힘든 상황이라 무리해서라도 신조선에 나서고 있다.
한편 한중간을 오가는 컨테이너선사들은 매년 항로 개방과 선복 확대 투입 등의 현안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인천 시민단체들이 컨테이너 정기선시장의 여건을 무시하고 한중간 컨테이너선 항로를 전면 개방하고 선복투입량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어 선사들로선 안타깝기만 한 것. 한중 컨테이너선 시장은 과잉공급으로 운임약세가 지속되고 있어 선사들의 경영에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한 컨테이너선 항로 추가 개방은 자칫 한중 정기선 해운 시장을 심히 혼탁하게 만들어 침체된 해운시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항 선사들로선 해양수산부측이나 중국 관계당국의 현실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단계적인 개방안이 제시되고 있어 운항선사들은 이에 대처해 경쟁력 확보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한중 컨테이너선사 한 관계자는 “화주들의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한중 컨테이너선 항로의 전면 개방을 주장하는 것은 현 해운시장을 제대로 파악치 못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며 “우선적으로 항로 안정을 전제로 한 단계적인 개방 추진이 정책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기자명 쉬핑뉴스넷
- 입력 2015.07.31 04:13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