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해운산업 성장 밑그림 그려나가야
해운 연관산업 유기적 상생 길 제시 컨트롤 타워 필요

이제부터 시작이죠. 양국 선주협회 간 MOU(양해각서) 체결은 첫 단추라고 해야 할 것이고 조만간 관심있는 회원사와 함께 실무적인 회의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이란은 인구도 우리나라보다 많고 자원부국으로서 잠재력이 대단합니다. 외생변수로 움츠러들어 있던 경제도 새롭게 도약하려는 시점에 있고요. 이참에 우리 선사들이 이란을 비롯한 중동시장에 적극적인 자세로 뛰어들어 해운서비스 판로가 개척되기를 희망합니다. 이란 국영선사와 우리 컨테이너 선사들이 협력하여 미니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고 정기선 서비스 망을 구체화하는 후속 조치가 조만간 가시화할 것입니다. 또 한 가지, 이란 해운업계는 우리 조선업계에 자국 신조선박 발주를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이란 해운업계와 우리 조선업계의 가교역할도 해나갈 생각입니다.
Q. 국내 양대선사가 채권단 자율협약을 체결한 상태이지만 중견선사들의 선방은 대단합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재기를 위한 선주협회의 선제적 노력도 주목됩니다. 현 시점이 한국 해운업계에 대한 부문별 세밀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매출 300억원 이상인 50개 회원사의 2015년도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액 합계가 34.3조원으로 2014년도 대비 4%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000억원 정도 증가했습니다. 이중 5개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흑자를 시현했습니다. 현대상선, 한진해운이라는 양대 선사의 어려움이 크게 부각되면서 한국해운 전체가 어렵다는 식으로 비춰지곤 하는 점이 아쉽습니다. 물론 한진해운, 현대상선이 우리 해운산업에 차지하는 비중이나 의미가 각별한 것이 사실이죠. 양대 선사가 유일한 원양정기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해운의 간판 같은 역할을 맡고 있고 실질적으로도 전후방 효과가 크긴 합니다만 이 문제뿐만이 아니라 국내외 해운시장에는 굵직한 이슈들이 많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3자 물류 활성화를 위해 정책대안을 마련 중에 있으며 영구적인 제주선박등록특구제도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전 발전사의 공동입찰 등 선하주 협력관계 발전에도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기왕 하기로 한 운임공표제도도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측면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Q. 선주협회는 장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업계의 정책적 지원을 위해 총력전을 펴왔습니다. 지난해와 다른 업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듯이 협회의 시책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라고 보는데, 부회장님의 견해는?
해운산업의 위기 문제는 산업구조조정 이슈로 최근에야 여론의 조명이 집중됐지만 실은 이미 8년째 지속되는 문제입니다. 그간 약 100개 회사가 폐업했고 그보다 많은 선사가 새로 생겨났습니다. 이미 산업내부에서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거나 마찬가지지요. 이제 남은 문제가 한진해운, 현대상선인데 양대 선사가 가지는 의미와 실질적인 경제효과 등을 고려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끌어 내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해운산업 성장의 밑그림도 그려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Q. 정부당국과 금융권에 당부하고 싶은 말씀은?
자원빈국으로서 대외교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있어서 해운산업이야말로 전 세계를 상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산업임에 틀림없으며 철강, 기계 및 조선산업이나 항만산업 등 우리의 주력산업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다는 점을 깊이 고려해서 정책방향을 정해야 할 것입니다.
세계금융위기 이후 세계 5위의 해운산업, 1위의 조선산업, 10위권의 무역업, 역시 10위권의 선박금융, 5위의 철강산업, 이 모든 산업이 각자도생의 길을 모색하느라 허덕였다면 이제부터는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관산업 전체를 조망하고 유기적인 상생의 길을 제시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요즘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현대, 한진 문제도 장기적인 국가경제측면에서 검토 되어야 합니다. 그저 핵심자산을 매각하는 수준의 대책으로는 매번 위기의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는 악순환을 끊을 수 없는 것이죠.
만일 현대, 한진이 사라진다면 정기원양컨테이너선박이 한국항만을 기항하지 않게 될 우려가 농후하며 해운업계는 물론 선박관리업, 선박수리, 보험업도 의 위축과 환적화물 감소에 따른 항만산업 축소 및 각종 항만서비스업의 수입 감소 등 전체적으로 연간 18조원의 손실이 예상되며 약 5천여 명의 일자리도 사라져버릴 것입니다.
이런 점들이 폭 넓게 고려되고 긴 안목으로 검토되기를 기대합니다.
[만난사람=정창훈 편집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