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회복 절실하다”
해상교통공단 설립 제안 눈길

정통 해운전문가 답게 양창호 원장은 위기의 해운업을 살리기 위해 단계적 대응 과제를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단기 대응과제로 한국 해운 재건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양컨테이너선사 육성을 위한 타깃 정책을 발굴하고 해운경쟁력 강화방안의 실천력 제고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IMO(국제해사기구) 환경규제 대응정책을 수립하고 해운정책 금융을 확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부산항 환적 물동량 창출을 강조했다. 얼라이언스 및 환적물동량 재편을 모니터링하고 엄격한 비용합리화에 기반한 항만 운영이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글로벌 항만물류 시설 투자방안 다각화도 지적했다. 중장기 발전방안으로 해운산업의 국민경제 기여도 회복 및 공적기능 강화를 제시했다.
무역인트라로서 해운산업 공적기능 강화를 언급했다.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체계를 구축하고 대량화물의 국적선사 적취율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R선박 등 주요산업 원부자재 수송용 국적선 확보와 세계 주요거점 항만에 해운전문가 파견도 제안했다.
양 원장은 안전하고 편리한 해상여객 교통체계 구축도 언급했다. 연안 여객선의 대중교통화 및 준공영제 도입을 지적했다. 아울러 여객선-도선 연계 운항체계 구축과 관광항로 우등(고급) 선박 도입 허용 그리고 해상교통공단 설립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양창호 원장은 세계 5대 해운강국 재건을 위한 해운역량 강화도 강조했다. 한국해운 재건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해운-조선 상생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톤세 일몰제 폐지 등 해운관련 법․제도 선진화도 지적했다.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해운산업 육성도 언급했다. 국비 양성 해기사를 관리자급 글로벌 인력으로 육성하고 해운인력 해외 취업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해운 창업보육센터(BI) 설립과 해운산업 고용통계 재정립을 강조했다.
한편 양창호 원장은 항만 중심의 미래형 비즈니스 통합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환경과 조화되는 항만도시 구축을 제시했다. 항만대기오염 제로 실현, 전국 항만 배후도로망 재편 그리고 항만과 도심간 통합 환경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적했다.
모든 활동이 가능한 자유경제도시 건설도 제안했다. 규제가 없는 자유항(자유경제도시) 도입, 부산항 시범지역으로 실시하고 향후 20개로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원도심과 연계한 항만재개발 사업 추진도 언급했다. 항만 주변지역을 포함한 항만재개발을 추진하고 항만을 동북아 최대 크루즈 거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거점 마리나, 강(江) 마리나 등 마리나 클러스터 확대, 방파제와 호안 등 항만시설을 국민 여가공간으로 활용토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 원장은 또 스마트 물류허브 항만 구축을 제안했다. 막힘없는 글로벌 물류 연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동아시아 제조, 유통 물류서비스 러브를 구축하는 한편 loT, AI, 로봇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항만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