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급작스레 대선 출마를 포기했다. 반 전 총장은 결국 정치는 ‘꾼’이 해야 하는 것이라는 푸념어린 아쉬움을 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꾼’은 언뜻 들으면 부정적인 시각이 크지만 전문성을 함축적으로 의미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우리 해운업계가 8년여의 장기불황하에서 새로운 재건의 불씨를 당기지는 못할 망정 국내 최대 선사 한진해운의 몰락을 지켜봐야 했다. 이는 곧 정부당국 관계자의 해운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전무했던 결과라고 본다.
해양수산부의 부활도 애매모호했다. 바다를 아우르는 산업을 뭉뚱그려 만들어진 부처가 해양수산부라는 점은 대다수가 공감하는 바다. 해운산업, 수산업, 해양산업 등등의 업종을 해양수산부가 관할하고 있지만 너무도 성격이 다른 산업군이 섞여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가 좌초의 위기의 해운업을 지켜내지 못한 주 요인중의 하나라고 본다.
해운전문가들 사이에언 해양수산부가 차기 정부에서 존치 가능성는 희박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과거 해운항만청에 대한 욕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비록 部가 아닌 廳이지만 해운항만업계의 발전을 위해 관련 공무원들이 혼신의 노력을 다한 것은 해운인들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특히 우수한 행정고시 출신들을 대거 영입해 해운항만청의 위상을 높인 것도 자긍심을 더했다.
해양수산부가 차기정부에서 해운항만청 체제로의 변신이냐 아니면 산업부나 교통부 등으로의 이관이냐 하는 문제가 정부조직개편안과 관련, 열띤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와 한진해운 파산이라는 대 사건을 겪은 국민들도 해양수산부의 역할의 한계를 뼈져리게 느꼈을 것이다. 대선주자들이나 정부당국 관계자들도 해양수산부라는 부처가 매우 거북스런 존재로 여겨질 지도 모른다. 정부 경제부처중에서 가장 힘이 약한 부처가 해양수산부이고 이 곳에서 해운 정책이 다뤄진다는 점에 해운인들은 이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해운항만 정책에 올인할 수 있는 정부조직의 개편을 고대한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