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황에서 다소 탈피하는 시황 징조가 보이면서 해운업계내에선 선사들간 실적 평가에 민감하다. 특히 경쟁사들의 1분기, 2분기 실적을 평가, 전망하는데 있어 일방적인 분석을 내놓아 논란이 일기도 한데...
국적선사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 지고 있다. 한진해운의 파산이후 선사들간 실적 및 서비스에 대해 더욱 예민한 반응이 감지되고 있는 것.
김영춘 신임 해수부장관은 국적선사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운연합체 성격의 협력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효율적 선대 투입과 중복노선 등의 소모전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해수부가 주도가 돼 일부 선사간 전략적 연합체가 구성돼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김 신임장관은 이를 보다 확대, 공고히 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적선사들간의 광범위한 해운연합체 구성은 경쟁을 최대한 지양하고 항로 안정화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큰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해운연합체를 운영하는 지가 성공여부의 관건이다.  일각에선 다소 부정적인 시각도 있지만 한일항로의 공동운항 운영 시스템을 적극 반영하는 시책을 해운전문가들은 제의하고 있다. 한일항로와 같이 강력한 협력체제가 공고히 될 수 있는 데는 선사들간의 확고한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한다. 아울러 한국근해수송협의회(한근협)의 기능과 역할에 힘을 실어 준 회원사들의 지혜도 이를 가능케 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보다는 협력 강도가 약해지기는 했지만 한근협 회원 선사들의 공동운항 운영의 묘는 여전하다.
국적선사간 협력 관계를 긴밀히 하기 위해선 해양수산부의 주도적 역할도 필요하지만 각 항로별 협의회의 기능 강화가 매우 긴요하다고 본다.
한일항로의 경우 특수성도 있지만 수십년간 협의회를 중심으로 회원 선사들이 단합된 모습을 보였기에 현재와 같은 견고한 공동운항체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 김영춘 신임 해수부장관은 해운업계 재건을 위한 최우선 시책으로 국적선사들간의 얼라이언스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무엇을 벤치마킹해야 하는가는 이미 답이 나온 셈이다. 물론 항로별 환경의 차이가 크지만 추구하는 바는 같을 것.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