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30일, 산업은행 등 한진해운 채권단은 자율협약 중인 한진해운에 대해 만장일치로 추가지원을 중단키로 결정했다.
채권단 내부에선 ‘조건부 지원’ 등 다양한 안이 제시됐지만 결국 신규지원 불가 방침으로 마무리된 것. 채권단과 한진해운측은 이에 앞서 추가 지원 자금을 두고 신경전이 대단했었다. 채권단측은 7천억원 규모의 자금지원을 요구했지만 한진해운측은 최대 4천억원까지 맞서는 기싸움을 했다.
작년 8월 30일은 사실상 한진해운 사태의 서막을 알리는 것이었고 다음날인 8월 31일 한진해운은 결국 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어 곧바고 9월 1일부터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됐다.
국내 1위 선사이며 세계 7위 컨테이너선사인 한진해운의 몰락은 급물살을 탔다. 세계 5위 한국해운의 위상은 추락했다.
신정부들어 한국해운연합,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등 굵직한 해운업 재건을 위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일단 모든 밑그림은 그려진 상태.
해운업계내에서도 평가는 엇갈리지만 일단 신정부의 책임있는 정책 실현을 지켜본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