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사기구(IMO)의 강력한 환경규제 시행으로 해운선사들의 운항 비용 부담은 실로 무겁다. 시황마저 안 좋은 상황에서 환경규제에 대응키 위해선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실정. 2020년 황산화물 환경규제에 대응키 위해 탈황장치인 스크러버를 장착시 적제는 30억정도에서 많게는 100억원이 들어간다고 한다. 저유황유의 사용도 내년이후 급격히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저유황유의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보여 국적선사들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부는 한국해양진흥공사로 하여금 선박평형수처리시설이나 스크러버 설비 장착할 경우 ‘친환경 설비 개량 이차보전사업 시행지침’에 따라 해운사가 금융기관에서 대출 시 정부가 정한 정책금리에 해당하는 이자
를 보전해 준다는 것.
국적선사 한 관계자는 “2020년 환경규제에 대응키 위해 저유황유 사용, 스크러버 장착, LNG 추진선 발주 등 여러각도로 적합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하지만 선복과잉에 수익성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박 운항을 위한 비용은 큰 부담이 되지만 정부가 대출시 2% 금리를 보전해 주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답답하기만 하다”고 토로했다. 현 실정에서 저유황유 등 사용에 따른 부담 증가를 화주에게 전가해야 하는데 시황이 좋지 않다보니 이것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
최근 해양진흥공사가 사업 설명회를 통해 이 문제도 제시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국적선사들의 버거운 짐을 덜어주기에는 턱없이 낮은 수준인 듯.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