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M&A활성화라는 명분하에 대량화주의 해운사 인수가 실질적으로 허용됐다. 장기불황에 허덕이는 해운업계를 구하는데 대량화주를 활용(?)하겠다는 것. 대량화주가 해운사를 인수하게 되면 결국 자가화물에 의존하는 해운경영으로 인수된 해운회사의 경우 발전적인 비전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해운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량화주들이 공적자금을 이용해 구조조정중인 해운사를 헐값에 사들일 경우 그 부담의 뒷 감당을 기존 해운사들이 해야 하는 셈이 돼 해운업계에 독이 될 수도 있는 정책을 현 정부가 시행에 옮길 태세다.
침체된 경제를 살리고 불황에 휘청되는 산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발상은 이해가 되지만 궁극적으로는 해운업계 건전한 발전에 장애요인이 될 공산이 크다는 점을 간과한 듯 해 씁쓸. 해운업계를 관장하는 해양수산부도 이같은 문제점들을 깊이 고심하고 업계와의 심도있는 대화를 통해 현안 과제들을 지혜롭게 풀어가야 할 것이다. 자칫하면 해운업계의 질서를 무너뜨릴 수 있는 정책인지 아닌지를 해수부는 진정 고민해 봤는지...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