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 전략, 연결과 혁신(Connectivity & Innovation)

 

진형인 회장
진형인 회장

기업의 SCM 전략 수립을 위해 고찰 해야 할 이시대의 화두는 연결과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1. 연결성(Connectivity)

현대 삶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상호 연결의 증대이다. 연결의 시대, 초연결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종래의 실체적, 지리적 연결에서 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이제는 가상의 연결, 가상과 현실의 연결이 이루어 지고 있다. 실제로 이 연결성은 인류 삶의 시작에서 부터 특히 20 세기 후반부터 본격화 되었던 세계화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이기도 하지만 현재는 놀라운 교통, 통신,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이 연결의 범위와 깊이가 크게 달라지고 있다.

지리적 연결이 본격화된 세계화의 시대에는 연결성의 증대로, 전 세계적 경제 수준이 높아 졌고, 특히 진취적으로 지리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국제적 연결망 확대에 앞장에 선 국가들이 부강해졌다. 이는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영국의 탐험가 월터 롤리(1552~1618)) 는 말에서도 나타났지만, 과거에 대외적 무역연결망 확대에 힘쓴 국가들이 세계적으로 부강한 국가로 성장한 현상과도 일치 한다. (연결성에 대한 연구로는 Connecting to Compete 2023,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Its Indicators, The World Bank; Global Connectedness Index 2022 ,DHL, People, Information, Capital, Trade, People 들을 측정요소로 Depth & Breadth 두 측면에서 분석; The Belt and Road Cities’ Connectivity Index, Insight Report, the World Economic Forum NOVEMBER 2021등이 있다.)

반면 급격한 연결성의 증대로 나타난 세계화에 대한 반작용도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지리적으로 경제적 격차가 커지는데 기인한, 자국주의, 지역주의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정치적, 환경적 요인 등과 겹쳐지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붕괴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세계화가 이미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주장과 지역적 폐쇄주의, 지역 이기주의도 다시 솟아나고 있으며 자유주의적 국제질서가 퇴조되고 있다고 주장되기도 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현 글로벌 공급망 위기는 극복되고 다시 글로벌 연결의 정도는 강해질 것이며, 경제적, 정치적 글로벌 네트워크를 잘 형성한 국가가 더욱 부강해 질것이며, 이는 역사적 사례에서 증명되고 있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Globalization’s Coming Golden Age, Why Crisis Ends in Connection, By Harold James, Foreign Affairs May/June 2021참조).

공급 사슬 관리(SCM) 는 기본적으로 연결의 고리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SCM 전략은 수많은 기업 활동을 기업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연결시키는 경영 전략이다. 자원들을 조달 시작점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이동, 가공, 전환, 변화하는 기능과 과정을 연결하고 조직하는 것이다.

미국의 공급사슬전문가 협회(CSCMP)는 SCM을 기업의 조달, 생산, 유통 등의 활동 과정에서의 계획과 관리, 그리고 관계되는 파트너간의 조정과 협력, 그리고 통합으로 정의한다. 현실적으로 SCM의 최적 운영, 통합 운영은 매우 복잡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 기술의 사용과 끊임없는 혁신을 필요로 한다.

SCM은 이 연결의 시대, 초연결의 시대, 글로벌 경제시대의 기업 경영의 핵심 요소이고, 국가 경쟁력 제고에서 가장 중요한 정책적 요소이다. 현재 놀랍게 발전하는 기술이 점점 인간의 삶을 주도하게 되는 환경에서, 고도로 발전하는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혁신 ( Innovation)을 통한 경쟁력 있는 SCM의 구축과 운영은 절실한 과제이다.

2. 혁신(Innovation)

SCM 혁신은 크게 인력( People), 프로세스( Process)의 혁신, 첨단 기술( Technology )의 활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력 혁신은 교육과 훈련으로, 첨단의 기술과 정보시스템의 활용 교육을 기본으로, 관리자 교육으로서 조직의 목표와 구성,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대내외적 및 수직적, 수평적 연관 조직과의 연결에 대한 기능과 시스템적 교육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혁신은 날로 발전하는 정보시스템과 기술을 활용하여 우수한 공급사슬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구축함을 목표로 한다. 기업의 여러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연결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부문간, 연관 기업간의 협력이 효과적으로 실시간으로 운영되도록, 연결성을 증진 시켜 SCM의 가시성 (Cross-chain Visibility), 민첩성(Agility), 속도(Velocity), 동기화(Synchronization). 적응성(Adaptability), 분할(Segmentation). 최적화(Optimization) 등의 향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SCM 의 혁신을 가능케 하는 도구는 현대에서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며, 이는 1970 년대의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로부터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CRP ( Capacity Requirement Planning), ECR ( Efficient Consumer Response) 를 거쳐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으로 다양한 발전과정을 거쳐 왔다. 앞으로의 정보 시스템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토대로 획기적인 변화가 올 것으로 전망 되고 있는 데, 이는 Supply Chain 4.0 시대를 가져와서 IOT, 고도화된 로봇사용, 빅데이타 분석 등을 가능케 하고, 무엇보다 SC Network 시대가 본격화 될 것이 전망되고 있다. (McKinsey Report, S.C, 4.0 – 차세대 디지털 SC, 2016 참조 ) 미국의 컨설팅 회사인 Gartner는 1.초자동화( Hyperautomation) 2. 디지털 공급망 트윈 (Digital supply chain twin, 물리적 공급망의 디지털 복제) 3. 몰입형 경험과 응용 프로그램(Immersive experience and applications): 가상 현실, (VR), 증강현실, (AR), 혼합현실 (MR) 4. 엣지 생태계 (Edge ecosystems) 5. 공급사슬의 안전( Supply chain security ) 6. 환경과 사회 및 지배구조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7. 임베디드 인공 지능 및 분석 (Embedded AI and analytics ) 8. 증강된 데이터 지능 (Augmented data intelligence) 등을 앞으로 일어날 주요 변화로 보고 있다. (Supply chain technology trends, 2022)

한편 S.C.Digest 의 대표인 Dan Gilmore 가 뽑은 과거의 SCM 혁신 중 비교적 뚜렷한 족적을 남긴 10 대 사례를 중요도 순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No. 10: Taylorism: 1800 대 후반에 , Frederick Taylor 가 만든 특정한 일을 수행하는데 드는 표준시간의 개념 정립 No. 9: 3M 가 1982 년에 만든 운송 하역 통제 센터 No. 8: 1970 후반기에 Andre Martin 이 캐나다의 Abbott Labs을 위하여 만든 Distribution Requirements Planning (DRP) No. 7: Fedex 의 추적 시스템 (FedEx Tracking System) 1980 년대 중반 No. 6 범용상품부호 (The Universal Product Code), Logicon 1970 년대 No. 5: 포드 조립 라인 (The Ford Assembly Line), Henry Ford 1913 No. 4: 경제적 주문량( Economic Order Quantity (EOQ)), 웨스팅 하우스 엔지니어 Ford Whitman Harris,1913, No. 3: 해상운송 컨테이너 (The Ocean Shipping Container): Malcom McLean, 1956 No. 2: 지속적 재고 보충 ( P&G's Continuous Replenishment), Procter & Gamble, 1988 No. 1: 토요타 생산시스템 (Toyota Production System, TPS) 1990, (자료 Dan Gillman, SC Digest 2016)

3. SCM의 기능별 솔루션의 선텍

혁신을 위한 기술 도입과 더불어 프로세스와 시스템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기능 별로 최적의 정보 시스템 구축, 최적의 솔루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SCM 의 기능 구분은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지만 한 예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 질 수 있다. 공급망 자원 운영(5개) :모니터링, 정보 분석, 기초정보 관리, 재고관리, 판매관리 ; 공급망 계획(2개); 제조 계획, 물류 계획, ; 공급망 실행(2개): 주문관리, 물류관리, 창고관리( 김태우·서창교, SCM 정보시스템의 핵심기능 분석, 한국 SCM 학회지, 2014, 10 참조) 각 기능별로 목적에 맞는 솔루션의 활용과 상호 연계성을 가지는 기능 간의 연결성 개선을 위해, 또한 정보시스템의 실시간 통합운영을 위하여 적합한 솔루션의 활용을 통해 기업의 목적에 맞는 전략 수립과 운영을 실현 시켜야 한다. 현재 SCM 관련 솔루션 중 비교적 많이 쓰이고 있는 솔루션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SAP SCM Software(통합적인SCM 솔루션)

2.마이크로 소프트 다이나믹 365 SCM (제품 주기 SCM 관리 에 최적)Top supply management solution for product lifecycle) 3. 로질리티 (Logility)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4. 인포 (Infor, 자동차 산업에 적합) 5. 오라클 넷 스위트 ERP SCM ( Oracle Net Suite, SCM 계획) 6. E2open (운송 관리 )7. 에피코 (Epicor, 소기업의 SCM 관리) 8. 블루욘더 루미네이트 ( Blue Yonder Luminate, 재고 관리 ) (Great chain logistics software for inventory management) 9. 마가야 (Magaya, 자재주문 관리 )10. 타블로 크리에이터 (Tableau Creator SC 분석) (참고자료, Best Supply Chain Management Software: Top 10 SCM Solutions, Crm.org, 2024)  - 끝 -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