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패널티 부과는 현실적이지도 않고, 변별력도 부족하다"는 지적도 경청해야

미국 해운, 조선이 변방에서 중심이 돼가는 과정에서 진통인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해운, 조선, 로지스틱스에 대한 견제가 노골화되면서 해운업계내 불확실성은 급상승하고 있다. 고관세로 인한 미중 무역전쟁이 이젠, 해운과 조선분야에 까지 심각히 파급되면서 해운업계는 그 영향이 어디까지 미칠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HMM, SM상선 등 중국선박이나 중국 조선소와 큰 연관이 없는 한국 해운선사들의 경우 오히려 불확실성은 미주항로에서나, 해운경기 상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조짐들이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물론 HMM의 경우 벌크선대 중 중국 선박이 있으므로 완전히 자유롭다고 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HMM의 주가는 연일 큰폭 상승하고 있다. 미주항로 취항 선사 관계자들은 트럼프 행정부 취임과 함께 불확실성이 확연이 드러나면 공급망 병목현상 등을 우려해 해운시장은 나쁠게 없다는 지적이다.  

미중간 해운, 조선분야 갈등 심화는 당사국인 중국 해운사나 조선소와 별도로 한국 해운, 조선분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평이다.

코로나 팬데믹, 홍해 사태 등 불확실성으로 예상밖 호황을 맞았던 해운선사들이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견제 정책으로 또다시 우군을 맞게될지 지켜보자.

하지만 미국의  중국 해운, 조선 견제책이 현실성이 있느냐 하는 문제는 숙제가 아닐 수 없다. 

하나증권 안도현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금번 조치는 결국 중국 해운업 및 조선사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시장지위를 제약하 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며 "하지만 현재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패널티 부과는 현실적이지도 않고, 변별력도 부족하다"고 밝혀 눈길.

그는 이어 "발주된 선박 중 중국 비중이 월등하기 때문에, 기 발주된 선박에 대한 계약 취소도 대규모로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현실적으로 중국산 선박 보유량과 발주량 비 중에 대해 기준을 한층 높여 중국 국영선사인 COSCO 선사만을 타겟 할 수는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COSCO의 미주 물동량(미주 컨화물 수송량의 16% 비중)이 분산되는 효과를 일부 기대할 수는 있으나, 타 지역 노선의 공급 증가 가능성이 있으므로 글로벌 컨테이너 시장의 변동성만 가중되 는 형국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