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해수부 이전 부지 물색 등 움직임에 동요(!?)
-HMM 노조 강력 반대 목소리 경청해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해수부나 해운업계는 해양강국을 기치로 내세웠던 이재명 새정부에 기대가 크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해양수산부는 도마위에 올라왔다. 해양수산부의 기능 강화를 위해 정부부처 통폐합 등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이재명 당선자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해양도시인 부산의 표밭을 의식해서 내세웠던 공약일 수도 있지만, 해수부와 해운업계는 촉각을 세우고 있다. 공약 중 국내 최대 해운선사인 HMM 본사 부산 이전이 제대로 추진될 지도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관련, 해수부나 업계는 벌써부터 우려감을 표시하고 있다. 부산 이전은 해수부를 자칫 지방부처화해 해수부 입지를 오히려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해수부 내 동요가 예사롭지 않을 것을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 직원 대부분이 부산 이전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언. 행정고시 합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부처 중의 한 곳이 해양수산부인데, 부산 이전이 성사될 시 우수한 인재들이 해수부를 외면할 것이란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해수부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부처 중 국제화에 앞서고 정치색이 옅다는 점이라는 것.
하지만 이재명 대통령 스타일로 봐 상당한 추진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데는 의견이 한결같다. 벌써부터 부산지역에 해수부 이전 부지를 물색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 것. 산업은행 이전 예정 부지가 유력한 듯. 한편으론 800여명 해수부 직원 수용 빌딩 매입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년 지자체장 선거를 염두해 둔 북항 재개발쪽 이전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재명 새 정부는 해양수산부가 부산으로 이전 시 운영 효율성 저하, 타부처와 협업 미진 등 마이너스 요인이 훨씬 많다는 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상보다 후유증이 클 공약은 단호히 철회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HMM의 부산 이전 공약은 더불어민주당내에서도 찬반이 갈렸던 것으로 보인다.
HMM의 해상노조는 한노총 산하, 육상노조는 민노총 산하다. 글로벌 해운선사는 금융, 인터내셔날 마케팅 등을 고려해 서울에 본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강하다. HMM 노조측은 HMM 본사 부산 강제 이전 시 경영효율성 저하는 물론이고 핵심 인력 이탈, 구성원 권익 침해, 국내외 신인도 저하, 글로벌 얼라이언스 협력 소외 우려 등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M그룹이 파산된 한진해운 미주, 아주 노선을 인수하면서 SM상선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본사 등록지를 부산으로 하고 실제 본사 기능은 서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로 세계 1위 컨테이너선사 MSC 본사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전문가들은 이재명 새정부의 해운업에 대한 세심한 이해도가 미흡하다는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가장 국제화된 해운업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할 시 HMM의 부산 이전 공약은 자연스럽게 철회될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은 철저한 공론화를 통해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이재명 새 정부에 우려했던 일방 통행식(?) 정책 집행이 해운업계에 밀착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