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우리나라 제1의 무역항이고 해양산업 중심 도시로 비약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곳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산에 대한 투자의욕을 내비치며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기도 했다.
하지만 부산의 현실은 녹록치 못하다.
이재명 새 정부는 대선 공약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 새 정부의 부산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탓하는 것은 아니다.
부산이 명실공히 우리나라 해운항만, 해양강국을 대표하는 도시로 받돋움할 수 있는 좋은 정책들이 발굴돼 적기에 실행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새 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세종시에 있는 해양수산부를 연내 부산으로 이전하고 국내 최대 선사이며 세계 8위 컨테이너선사인 HMM 본사를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발상을 그대로 집행하겠다는 강공자세에 우려감을 표하는 해운항만업계, 공직자들이 꽤 된다는 점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해양수산부와 HMM 이전은 부산을 글로벌 해양 중심도시로 성장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일은 순리대로 진행돼야지, 반대 여론이 많은 시책을 공론의 장을 제껴두고 정권 초기 일방 통행식 강공으로 임할 시 부작용이 반드시 나타나게 된다.
새 정부가 부산에 올인하는 해운항만, 해양정책에, 바다를 끼고 있는 여타 국내 항구도시 지자체, 공공기관의 허탈함은 배려하고 있는지 물어보고 싶다. 새정부 들어 초기에 형평성 빈곤의 해운항만, 해양정책이 노정될까 걱정된다.
여야 국회의원들은 국회에서 그토록 많은 토론회를 개최하면서 해운항만, 해양업계의 최대 이슈인 해양수산부, HMM 부산 이전과 관련한 영향 평가 토론회를 개최한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해양수산부 격상과 관련해 산업부, 국토부, 행안부의 연관 업무를 해수부로 통합하는 문제도 정식 공론화해야 한다.
전재수 부산 출신 의원이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고 이재명 대통령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연내에 마치도록 국토교통부에 지시한 것과 관련해, 그 득실을 따져보고 부산으로 이전이 불가피하다면 최대공약수를 찾아보는 정책토론회는 반드시 필요하고, 하루속히 공론의 장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새 정부는 대한민국이 명실공히 해양강국으로서 손색이 없도록 보다 성장토록, 좁은 시야를 접고 큰 숲을 보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