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해운사 경쟁력 고려, 부산 이전 비현실적 주장도 무색(?)
-HMM 육상노조(민노총), 해상노조(한노총) 모두 부산 이전 강력 반대

사진 출처:https://www.parc1.com
사진 출처:https://www.parc1.com

이재명 새정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한민국의 해양강국 도약과 현장 중심 정책 집행을 위해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등 부산을 명실상부한 해양 강국의 중심으로 만들겠다"고 밝힌 대선 공약을 현실화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운업계 내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더욱 보란 듯이 해양수산부 이전 빌딩을 매입해 신속히 발표, 강력한 의지를 표하고 있다.

해수부 공무원 노조도 반대 입장을 철회해 해수부 부산 이전은 가속이 붙을 예정이다.

전재수 장관 후보자가 임명되면 속도전이 예상된다. 해수부가 이전될 부산진역 인근 IM빌딩, 협성타워 부근 숙박시설, 부동산이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전언.

해수부 부산 이전과 함께 가장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국내 최대 해운사 HMM 본사의 부산 이전 가능성이다. 전재수 장관 후보자가 내년 지자체장 선거에 나설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부산을 확고한 해양강국 중심으로 만들기 위해선 해수부 부산 이전과 더불어 HMM 본사 부산 이전은 필연적이란 분위기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HMM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수장이 임명되면 산은과 HMM 관리 주체인 해양진흥공사가 현 정부의 입장을 대변이라도 하듯 강공으로 밀어붙일 태세다.

HMM 본사 부산 이전은 글로벌 해운사의 경쟁력을 고려시 매우 비현실적이란 해운전문가들의 주장도 무색하다. 세계 글로벌 유수 선사들은 서울에 지사를 두고 영업에 올인하는 상황에서 HMM이 부산으로 이전하는 모양새는 어떤가.

HMM 육상노조(민노총), 해상노조(한노총) 모두 부산 이전을 강력 반대하고 있지만 새정부의 의지가 워낙 강해 ...

아울러 HMM 뿐만아니라 여타 해운회사, 일부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 부산 이전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민간기업인 해운회사의 본사를 오로지 정부 의지만으로 부산으로 이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인 것을 잘 알고 있지만, 현 정부의 생태를 봐선 논쟁이 거세질 공산이 크다.

정부의 해운회사 지원 정책과 연관시켜 해운회사 부산 이전을 유도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는 분위기여서 지대한 관심사. 앞만 보고(?) 달리는 새 정부가 혹 해운 대기업 유치를 위한 특별법까지 만지작되는 것은 아닐지 우려감이 크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