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운협회는 회장단 회의를 11일 협회 회의실에서 열고, 올해 말로 임기가 끝날 예정인 양창호 상근부회장과 이철중 상무이사에 대한 임기 1년 연장 안건을 투표에 부쳐, 10개 회장단사 중 9곳이 참석한 가운데 가결시켰다. 공식 임기는 3년이지만 임기 연장은 1년씩이기 때문에 오히려 긴장된 분위기였다는 것.
양창호 상근부회장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을 역임한 명실상부한 해운전문가로서, 70세가 넘은(1955년생) 나이에도 불구하고 해운업계 당면 현안 해결을 위해 3년여 기간 그야말로 분주히 뛰어다녔다.
국책연구소 원장 출신이고 연륜이 깊다보니 협회나 해수부 등 정부 부처 공무원들한테 혹, 권위적, 엄숙함 이미지로 인한 소통문제도 예상해 봤다. 하지만 직면한 문제들을 원만히 풀어나가는 경륜으로 협회 주요 사업들을 차질없이 추진해 왔다는 점이 회장단사들에게 크게 어필된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은 해운강국이기에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 위상은 대단한 자리다. 임기 3년을 마치고 1년 연장을 가결한 회장단사의 깊은 뜻을 양 상근부회장은 너무도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내년 양 상근부회장이 연속 사업으로 역점을 둬야 할 현안들은 산적해 있다. 해수부와 공정위 간 업무협력, 해운업계의 북극항로 개척 지원 정책 추진, 톤세제 영구화, 대량화주인 포스코의 HMM 인수 철회 추진, 획기적 해운전문인력 육성책, 국적선 적취율 증대로 물류안보 실현, 물류대란 방지, 전략상선대 도입 및 건조지원의 정책과제 등 하나하나 진정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분야다.
상근부회장의 임기 1년 연장 가결은 협회나 개인으로서도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부산을 해양수도로 키우기 위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올해 12월말로 완수하고 HMM 등 해운기업, 공공기관 등의 부산 이전을 위한 인센티브 등을 적극 강구하고 있다,
정권 초기의 추진 사업이기에 무리가 따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국적외항해운업계의 경영을 위축시킬 수도 있는 시책들이 발현될 시, 무엇보다 해운협회가 선제적으로 나서 현안들을 풀어나가야 한다. 여기서 양창호 상근부회장의 강력한 역할론이 대두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양창호 상근부회장도 임기 연장과 함께, 협회와 회원사들을 위해 반드시 해결하고 싶은 숙제들이 머리에 입력돼 있을 것이다. 뚝심있게 현안 해결을 위해 난제들을 헤쳐나가는 양 상근부회장의 모습을 그려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