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선정위해 끝까지 총력전을 폈던 해운인, 특히 원로해운인 모습 생생
한국해운협회는 2025년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심사 결과, 한국해양대와 목포해양대가 최종 선정되지 못한 데 대해 심히 유감을 표시하며, 해운업계 차원에서 두 대학의 해기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총 100억 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혀 이목이 집중. 글로컬대학 30 탈락에 대한 해운계의 강한 메시지 성격이 담겨 있어 더욱 주목된다.
해기사 부족현상이 갈수록 심화돼 정부 차원의 특단 대책이 절박했지만, 양 해양대 글로컬대학 30 탈락으로 “중앙정부가 무엇보다 해기 인력 양성에 선도적으로 지원하는 모양새와는 거리가 멀어진 셈이 돼 너무 아쉽다”고 해운업계 관계자들은 볼멘소리.
BIMCO 등 해외 해운 전문기관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26년 기준 약 2만3,000명의 해기사 부족이 예상.
한국해운협회 양창호 상근부회장은 “해양대의 해기사 양성 확대는 산업계 등 민간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해양수산부∙교육부·부산시 등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과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 아울러 “국가 차원의 정책적 뒷받침이 병행될 때, 글로벌 해운산업에서 한국의 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
이번 해운협회의 지원은 한국해양대와 목포해양대의 ▲친환경 연료 기반 해기인력 양성 설비 투자 ▲승선 해기인력 지원 확대 ▲해기사 교육 인프라 고도화 등의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해운협회는 양 대학에 총 100억 원을 지원하는 안을 총회 의결을 통해 추진할 계획.
다행히, 부산시도 “부산시가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해기 전문인력을 비롯해 첨단 해양산업 분야 인력양성은 필수라고 강조”하며, “글로벌 해양 특성화 대학 혁신과 우수한 해기인력 양성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는 것.
이는 해양수산부의 해양대 지원 동참에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해운협회는 언급.
비록 양 해양대의 ‘1국가 1해양대’ 통합모델이 글로컬대학 선정이 무산됐으나, 정부, 지자체, 해운협회 등이 합심하는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해양수도를 외치며 해양수산부의 연내 부산 이전 완료를 강조하고 해양클러스터 운운하고 있지만, 이번 양 해양대 글로컬대학 30 탈락에 해운업계의 시선은 예사롭지 않다.
글로컬대학 30(‘1국가 1해양대’ 통합모델) 최종 선정을 위해 끝까지 총력전을 폈던 해운인, 특히 원로 해운인들의 모습이 생생하다. 정부의 해기인력 양성 절박함이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가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것이 해운계 중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