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의 한숨 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극심한 경기불황으로 해운업계 전체가 고사위기로 몰리고 있지만 진작 정부나 금융기관은 지원은 물론이고 약속했던 문제들도 큰 관심이 없어 해운업계는 실망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금융당국은 해운선사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거나 회사채를 발행할 때 보증을 서 주는 '해운보증기금' 설립을 위한 공동연구용역을 내년 상반기까지 진행키로 해 해운업계 금년내 숙원사업이 수포로 돌아간 셈.
선박금융공사 설립은 이미 물 건너 갔고... 선박제작에 필요한 금융지원을 하는 선박금융공사를 부산에 세운다는 건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지만 정부가 정책금융기관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공사설립은 사실상 무산되고 말았다. 경쟁국들로부터 보조금으로 간주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될 수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지만 금융, 해상법 변호사들의 의견은 너무도 상이해 해운업계나 선주협회가 분노하고 있는 것.
해운업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기침체로 물동량이 급감,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영업수익이나 구조조정만으론 유동성 위기를 넘기기 힘들고, 결국 외부차입이 필요한 데 신용도가 너무 떨어져 자금조달마저 쉽지 않은 상황. 한진해운의 올 2분기 부채비율은 835.2%을 기록했고, 현대상선도 895.1%에 달한다.
이 때문에 해운선사들은 대출이든 회사채 발행이든 신용을 보강해 줄 별도의 기금이 만들어져 한다고 주장해 왔다.
독일은 이미 오래 전부터 선박금융공사가 설립돼 안정적인 대출지원을 하고 있고, 덴마크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자국 해운업체 머스크에 62억 달러의 금융차입을 해줬다. 중국 공상은행 역시 국영선사인 코스코에 150억달러를 빌려주기도 했다. 이같은 상황을 정리해 보면 국적 외항해운업계의 시름을 클 수 밖에 없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