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포트 컴퍼니(PPC) 주식 90% 미국 투자회사 블랙록과 MSC 컨테이너터미널 자회사 TiL 등 중심 컨소시엄에 매각
-발보아항과 크리스토발항 권익 얻어
홍콩 CK 허치슨 홀딩스는 4일, 파나마운하 양쪽 끝에 위치하는 발보어항과 크리스토발항을 운영하는 파나마 포트 컴퍼니(PPC) 주식 90%를 미국 투자회사 블랙록과 스위스 선사 MSC의 컨테이너터미널 자회사 TiL 등을 중심으로 하는 컨소시엄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세계 23개국에서 총 43개항을 운영하는 허치슨 그룹 산하 기업의 주식 80%에 대해서도, 이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총 인수액은 228억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이라고 일본해사신문은 전했다.
이번 매각에서는, 컨소시엄이 PPC 주식 90%를 취득해, 발보아항과 크리스토발항의 권익을 얻는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요충지인 파나마운하를 둘러싸고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영향력을 지적하며 반환을 요구하는 발언을 했었다. 이번 매각은, 이같은 정치적 동향과 관련이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프랭크 식스트 CK 허치슨 공동 상무이사는 “본건은 순수하게 상업적인 거래이며, 파나마운하에 관한 최근의 정치적 논의에 관한 보도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컨소시엄은 PPC 주식에 더해, 세계 43개항에서 총 199개 버스의 컨테이너터미널을 운영하는 허치슨 포트 홀딩스의 주식 80%도 취득한다. 다만, 이번 매각에는 홍콩과 선전, 화남 지역 터미널 운영을 담당하는 허치슨 포트 홀딩스 트랜스 및 그외 중국 항만 사업은 포함되지 않는다.
MSC는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선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동사의 컨테이너터미널 사업을 담당하는 TiL이 컨소시엄에 참여함으로써, MSC의 항만・터미널 사업의 네트워크 확대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식 매매 거래는 원칙적으로 합의에 도달했으나, 자산 실사(due diligence)와 규제당국의 승인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PPC에 관한 거래는 파나마정부의 승인아래 진행될 전망이다.
식스트 허치슨 상무이사는 “이 거래로 당사 그룹에 190억달러 이상의 현금 수입을 가져다 줄 것이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