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일 회장
□ 향후 10년 전후 국·내외 물류산업 환경 변화 양상
∘ 2020년 세계 물류시장 약 8조 달러 규모로 성장 예상 (국내 물류 종사자 약 300만 명)
∘ 북극해운항로 해빙으로 인한 상업 운항 가능(아시아-유럽, 운항시간 1/3 단축)
∘ 북한철도 개방에 따른 대륙철도(TSR, TCR) 연결 ⟶유럽 진출(유라시아)
∘ 동북아 중심 국가로서 경제자유구역을 활용한 유통물류 중심 구축
Ⅰ. 글로벌 물류산업 발전
1. 해운 물류산업 1) 북극해운항로 운항으로 인한 부산항의 아시아 허브항(스마트 항만 운영)
2) 해운과 조선산업의 융합 초대형 컨테이너선 투입(글로벌 해운 물류시장 선도)
3) 한국해양진흥공사의 확대 개편을 통한 글로벌 최대 해운 강국 코리아 4) 한·중·일 3국간 컨테이너 전용 Ro/Ro선 투입(항만에서의 하역 단계 생략)
2. 항공 물류산업 1) 인천공항의 항공화물 아시아 최대 환적기지 역할 2) 인천공항의 글로벌 물류 중심(MRO, 항공기 조종사 양성 훈련기지)
3) 한·중·일 셔틀 화물운송 체계 구축(지방공과 지방 공항)
3. 철도 물류산업 1) 신북방정책에 따른 남북철도 연결로 대륙진출 기반 2) TSR: 한국 → 북한 → 러시아 철도 연결 ⟶유럽진출(2주 이내 운송 추진)
3) TCR: 중국 일대일로 연결 ⟶유라시아 진출 확대
Ⅱ. 동북아 중심(경제자유구역) 유통물류기지
1. 승용차, 자원, 에너지, 식량 등의 부문 관련 (한·중·일) 유통물류기지 구축 2. 한·중·일 중심의 자유무역지대 확대를 통한 수출입 무역 증대 3. 신남방정책에 따른 아세안 및 아프리카 대륙에 항만 물류 산업단지 건설 기반
Ⅲ. 4차 산업혁명과 국내 물류산업
1. 3자 물류 중심 체계 구축을 통한 글로벌 최대 물류기업 탄생 2. 블록체인을 활용한 생산자와 소비자간 직접 소통 및 당일배송 체계 구축 3. Global Value Chain / IT, 금융, 정보, 인력과 제조, 물류 등 융합 발전 모델 구축 4. 철도 컨테이너 운송 극대화(컨테이너 2단 적화 실현)
5. 글로벌 물류 전문가 양성 중심의 교육 체계 확립
Ⅳ. 국가물류산업화에 따른 결과
1. 세계 최대 물류산업 국가, 물류산업 매출 5,000억 달러 달성 가능 2. 소득양극화 해소 3. 일자리 창출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