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에도 꿈나무가 필요하다”
해양진흥공사, 해운기업 능동적으로 도와야

 

 

▲ 전준수 석좌교수
“대통령이 의지를 보이고 있는 해운재건 계획의 본래 정신에 맞춰 금융기관이 협조하지 않는다면 해운재건은 구호에 그칠 것입니다. 해운재건의 상징으로 탄생한 해양진흥공사는 어려움에 직면한 해운기업을 능동적으로 도와야 합니다. 건실하고 튼튼한 공기업이기보다는 해운산업 재건에 기꺼이 희생하는 조직이 돼야 합니다”
원로 해운인 한국해양대 전준수 석좌교수의 대한민국 해운산업 재건에 대한 열망이 담긴 일성(一聲)이다.

전준수 교수는 꿈나무 해운회사는 벌크해운을 중심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특히 해양진흥공사의 사명감있는 역할을 주문했다.
“꿈나무 해운회사는 벌크해운을 중심으로 키워나가야 하고 해양진흥공사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벌크해운의 NVOC 와 VOC를 육성해야 합니다. 이를위해 해양진흥공사와 자체가 대선회사가 돼야하고 신조선 목적 펀드를 만들어 가야 합니다. 지금처럼 자격있는 해운회사를 선별해 후순위보증으로 지원하는 것은 다른 국책은행도 마지못해 하는 방식입니다. 해양진흥공사는 당사자가 돼야합니다. 이번에 해운이 재건되지 않으면 존재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우리 모든 해운인이 힘을 합쳐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맙시다”

전준수 교수는 지난 2008년 이전 우리 벌크해운은 최고의 전성기였다고 언급했다. 그때 시황예측기관이 제대로 작동하고 과열된 용선활동을 자제시킬 수만 있었어도 그후 참담한 실패를 축소할 수는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시장에서 뛰는 해운회사에 중장기적인 시황 분석과 예측까지 기대할 수는 없는 것으며, 이에 지금도 KMI의 역할이 어느때보다도 긴요하고 실력과 경험이 축적된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시중은행과 증권회사, 금융회사들이 혁신 중소벤처기업,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부동산 담보대출에서 점차 직간접 투자를 늘려가는 추세다. 스타트업을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현상으로 보인다. 과거 해운산업에는 젊은 해운인들이 신생 기업을 창업해 중견기업이 되고 대기업으로 발전하는 사례가 많았지만 지금은 그런 식의 성장 가능성이 아예 사라져버렸다고 전 교수는 안타까워 했다.

해운산업은 2020년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에 따른 대변화가 예고돼 있다. 많게는 운행 중인 선박의 4분의 1이 도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 교수는 내다봤다. 세계 최강 그리스 선주들은 지난해 46억달러를 들여 총 305척(2822만t)의 선박을 사들였다. 우리도 이런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기회로 삼으려면 대대적인 신조선 건조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해양진흥공사는 이미 계획돼 있는 신조 벌크선 160척 계획의 3분의 1이라도 1년 내 건조될 수 있도록 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며 “대선(貸船)회사나 신조선 펀드 조성 등을 통해 자금력이 부족한 젊은 해운인들에게도 기회를 줘야 하며, 우리 해운도 꿈나무 기업을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해운재건 5개년계획’ 시행 1년이 됐다. 한진해운 파산 이후 국내 해운산업 매출은 2016년 28조8000억원에서 2018년 34조원까지 증가했다. 원양 컨테이너선 선복량(적재능력)도 20피트짜리 컨테이너 46만개에서 52만개로 늘었다. 현대상선의 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의 신조(新造)가 완료되면 선복 외형 면에서는 한진해운 사태 이전의 위상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 교수는 말했다.

현대상선의 대형 컨테이너 신조선은 내년 4~9월 집중적으로 시장에 인도될 것이다. 우리 정기선 해운선사로서는 도박에 가까운 전략이다. 목표로 하는 얼라이언스 가입이 뜻대로 안 된다면 독자적으로라도 항로 서비스를 하겠다는 배수의 진을 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 현재 현대상선의 영업력으로는 엄청난 과제인데 이런 도전의지 없이는 우리가 원하는 얼라이언스에, 원하는 조건으로 가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얼라이언스별로 우리가 원하는 조건을 세분화하고 국가 외교력까지 동원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 신조선 인도 일정을 감안할 때 올해 가을까지는 얼라이언스 가입이 구체화돼야 신조선 투입 후 운항 일정을 맞춰나갈 수 있다고 전 교수는 밝혔다.

유럽연합(EU)의 ‘블록 이그젬프션(block exemption)’ 규정은 예전의 막강한 동맹이 폐지되면서 해운산업을 돕고자 어느 정도의 해운산업 질서 유지를 위해 인정했던 규정으로, ‘선사 간 선박 공유와 시장 점유율 30% 제한’이 그 주요 내용이다. 이 규정은 내년 4월이면 종료되기 때문에 올해 말까지는 연장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새로운 환경 상황도 우리의 얼라이언스 가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 교수는 언급했다. “현대상선뿐만 아니라 전문가들과의 공동 전략 논의가 활발히 그리고 은밀히 이뤄져야 한다”며 “우리 원양정기선 해운의 운명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이다”고 전 교수는 강조했다.

[만난사람=정창훈 편집국장]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