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간조사서비스회사 데카르트데이터마인이 발표한 아시아 10개국 지역발 미국향(북미 수출항로) 10월 컨테이너 수송량은 전년 동월대비 10% 감소한 145만4613TEU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최대 출발지인 중국이 18% 감소한 83만3993TEU로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감소 폭도 9월의 4%에서 크게 확대됐다. 또 2위 한국도 14% 감소한 15만4714TEU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중국발 환적 화물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국가, 지역 별에서는 중국, 홍콩발이 21% 감소한 것에 비해 일본을 제외한 나머지 7개국발이 15% 증가해 중국에서 아시아로의 공급 거점 이동이 계속됐다. 일본발은 6% 증가한 4만4802TEU로 7위를 차지했다. 일본발 외국 환적 분량은 9% 증가한 1만2847TEU로 증가했으나 최대 환적항인 한국의 환적 분량은 7% 감소한 9788TEU였다.

그 밖에 3위 베트남발이 44% 증가한 11만7546TEU로 11개월 연속 증가했다. 4위 대만이 전년 동월과 비슷한 8만2221TEU를 기록했고 5위 싱가포르가 20% 증가한 6만9225TEU를 기록했다.

6위 홍콩은 22% 감소한 5만73TEU, 8위 인도가 4% 증가한 4만3219TEU였다. 9위 태국은 29% 증가한 4만60TEU, 10위 말레이시아는 41% 증가한 1만8761TEEU였다.

품목 별에서는 최대 품목인 가구류에서 중국, 홍콩발이 29% 감소한 13만7326TEU에 대해 아시아 7개국발이 37% 증가한 9만5800TEU, 전자전기는 중국, 홍콩발이 18% 감소한 8만3212TEU에 대해 아시아 7개국발은 48% 증가한 3만8902TEU, 기계류는 중국, 홍콩발이 22% 감소한 7만8921TEU에 대해 아시아 7개국발은 5% 증가한 4만868TEU였다. 주요 품목에서는 중국, 홍콩발의 감소를 다른 아시아 각국이 보충한 형국이었다.

미국발 아시아향 북미 수입항로의 9월 수송량은 전년 동월대비 0.9% 감소한 45만6796TEU였다. 8월의 1% 증가에서 감소로 돌아섰지만 미미한 감소에 그쳤다. 최대 출발지인 중국이 14만2729TEU로 전년 동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이 컸다.

2위 한국향은 4% 증가한 5만5671TEU, 3위 일본향은 7% 감소한 5만4774TEU였다고 일본해사신문이 전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