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현이후 전 산업계가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해운업계는 예상외로 선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해운선사들마다 사정은 다르지만 HMM, SM상선 등 원양항로를 운항하는 선사들의 영업이익이 급증하고 있다. 벌크선사들도 BDI의 변동폭이 크기는 하지만 잘 버텨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근해 국적 컨테이너선사들은 회사들마다 경영스타일이 상이한데다 높은 업력, 한국 해운산업의 틀을 만들어왔다는 자부심이 강하다. 이에 최근 K-얼라이언스를 추진하고 있는 해양수산부의 정책 방향이 뜻대로 이루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해운선사들의 경우 코로나19 사태를 지혜롭게 극복하고는 있지만 '정크 펀드'를 이용하고 있는 선사가 있는가 하면 여전히 문턱이 높은 금융권, 시중은행을 상대로 유용한 선박금융을 활용하기는 상당히 벅찬 상황. 참고로 정크 펀드란 경제 수익률은 높지만 신용도가 낮은 고수익 채권이나 고위험 채권을 운용하는 펀드이다.
국내 은행들의 이자율이 타산업에 비해 터무니없이 높다보니 국적선사들은 선박 건조나 친환경 설비 투자를 위해 일본 은행을 통해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것.
한국해양진흥공사로 부터의 지원을 받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지만 여전히 까다로운 조건들이 있고, 무엇보다 이자율이 높다는 점을 선사 관계자들은 지적.
국적선사들이 코로나19 사태를 슬기롭게 이겨내고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높이기 위해선 자금 조달에 있어 크게 숨통을 트이게 하는 정책금융과 함께 민간 중심의 선박금융 활성화가 화급.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