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물동량 감소(중량기준 8.9%↓)에도 컨 물동량은 0.5% 감소에 그쳐

사진 출처:여수광양항만공사
사진 출처:여수광양항만공사

해양수산부는 2020년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4억 9,735만 톤으로, 전년(16억 4,397만톤) 대비 8.9% 감소했다고 밝혔다.

* (1분기) 3.2%↓, (2분기) 11.8%↓, (3분기) 11.9%↓, (4분기) 8.7%↓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정책으로 인한 발전용 유연탄 수입량 감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EU·미국 등의 소비 부진에 따른 원자재 및 소비재 교역량 감소 등으로 전년(14억 2,915만톤) 대비 10.8% 크게 감소한 총 12억 7,456만 톤으로 집계됐다.

* (1분기) 5.4%↓, (2분기) 14.3%↓, (3분기) 13.8%↓, (4분기) 9.7%↓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4월부터 감소 추세였으나, 9월 이후 미주지역 수요 반등에 따른 물동량 회복과 미주․동남아 항로 임시선박 투입 등 수출화물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증가 추세로 전환되면서 전년(2,923만TEU) 대비 0.5% 감소한 2,908만 TEU를 기록했다.

연안 물동량의 경우 인천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2019. 10.)로 모래 물동량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168.3%↑)함에 따라, 전년(2억 1,482만톤) 대비 3.7% 증가한 총 2억 2,279만 톤을 처리했다.

한편, 2020년 12월 항만물동량은 총 1억 2,781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4,869만 톤) 대비 14.0% 감소했고, 그 중 수출입 물동량은 총 1억 803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860만 톤) 대비 16.0% 줄었다.

최근 15년간(2006∼2020) 전년 대비 물동량 추이를 보면, 2008년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침체로 2009년 물동량이 감소(5.5%↓)한 이후 물동량 자체가 감소한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금년에는 일정 부분 물동량 회복이 예상되나, 이는 전년도 큰 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될 경우 큰 폭의 회복세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항만별(물동량 기준)로 보면 부산항, 광양항, 울산항, 인천항이 전년 대비 각각 12.4%, 11.8%, 7.1%, 3.6%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항만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기록했다.

2020년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환적 물량의 증가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전년 대비 0.5% 감소한 2,908만 TEU를 기록했다.

* (1분기) 1.2%↑, (2분기) 4.3%↓, (3분기) 1.1%↓, (4분기) 2.4%↑

수출입은 전년(1,674만 TEU) 대비 1.9% 감소한 1,642만 TEU를 기록했는데, 수출이 829만 TEU(1.0%↓), 수입이 813만 TEU(2.8%↓)로 수입 물동량의 감소 폭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1분기) 0.4%↑, (2분기) 6.2%↓, (3분기) 1.7%↓, (4분기) 0.01%↑

상대적으로 수출물동량의 감소세가 적은 것은 일본(11.1%↓), 베트남(2.1%↓) 등 국가로의 수출감소에도 불구하고, 대(對)중․대(對)미 수출이 크게 늘어(각각 7.3%↑, 5.3%↑) 이러한 감소세를 상쇄시킨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환적은 전년(1,228만TEU) 대비 1.6% 증가한 1,248만 TEU를 기록하여 우리 항만의 경쟁력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1분기) 2.5%↑, (2분기) 1.7%↓, (3분기) 0.3%↓, (4분기) 5.8%↑

한편, 전년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과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각각 0.5%씩 동일하게 소폭 감소하였다.

2021년에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으로 세계경제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난해 위축되었던 물동량도 같은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미-중 갈등 심화 가능성 등 경기하강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다.

*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성장률을 ‘20년에 4.4%↓, 21년에는 5.2%↑로 전망(’20.11, KDI)

** 부산항의 경우, ‘20년 대비 3.3% 증가한 2,250만TEU로 전망됨(‘20.12, 부산항만공사)

부산항은 전년(2,199만 TEU) 대비 0.8% 감소한 2,181만 TEU를 기록했다.

* (1분기) 3.2%↑, (2분기) 5.2%↓, (3분기) 3.5%↓, (4분기) 2.4%↑

** (’20.10) 190만 TEU(1.2%↑), (‘20.11) 193만 TEU(5.9%↑), (’20.12) 187만 TEU(0.2%↑)

수출입은 전년(1,035만 TEU) 대비 감소(5.4%↓)한 980만 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제1의 교역국인 대(對)중국 물동량 증가(4.8%↑)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요 교역국들의 물동량 감소(미국 2.1%↓,일본9.6%↓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1분기) 0.9%↑, (2분기) 11.2%↓, (3분기) 8.3%↓, (4분기) 2.6%↓

** (’20.10) 84만 TEU(2.6%↓), (‘20.11) 85만 TEU(1.0%↓), (’20.12) 84만 TEU(4.1%↓)

그러나 3분기 이후 수출 증가에 따라 물동량 감소세가 점차 줄면서 코로나19의 영향에서 점차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북미항로는 3분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 최근 3개월간 북미항로 수출현황 : (‘20.10) 91천 TEU(24.4%↑), (’20.11) 90천 TEU(18.6%↑), (‘20.12) 80천 TEU(14.9%↑)

환적은 전년(1,164만 TEU) 대비 3.2% 증가한 1,201만 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주요 교역상대국들에 대한 환적물량 증가(중국 9.4%↑, 캐나다 4.5%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1분기) 5.2%↑, (2분기) 0.1%↑, (3분기) 0.8%↑, (4분기) 6.7%↑

** (’20.10) 107만 TEU(4.3%↑), (‘20.11) 108만 TEU(12.1%↑), (’20.12) 103만 TEU(4.0%↑)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영향은 환적부문에도 나타나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대폭 축소(5.2%→0.1%)되었으나, 3분기부터 증가율이 반등하는 추세를 보였다.

인천항은 전년(309만 TEU) 대비 5.6% 증가한 326만 TEU를 기록해 인천항 개장 이후, 역대 최대수준을 기록했다.

* (1분기) 1.5%↓, (2분기) 4.6%↑, (3분기) 11.6%↑, (4분기) 7.2%↑

** (’20.10) 28만 TEU(8.0%↑), (‘20.11) 30만 TEU(9.4%↑), (’20.12) 28만 TEU(4.2%↑)

수출입은 전년(305만 TEU) 대비 4.5% 증가한 319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연초 신규항로(중국․베트남) 개설효과가 지속(중국 194만 TEU(4.1%↑), 베트남 35만 TEU(6.4%↑))된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도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환적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3.3만TEU) 대비 101.8% 증가한 6.7만 TEU를 처리했다.

광양항은 전년(238만 TEU) 대비 9.4% 감소한 216만 TEU를 기록했다.

* (1분기) 9.8%↓, (2분기) 13.1%↓, (3분기) 4.9%↓, (4분기) 9.3%↓

** (’20.10) 17만 TEU(13.0%↓), (‘20.11) 18만 TEU(4.3%↓), (’20.12) 17만 TEU(10.6%↓)

수출입은 전년(180만 TEU)대비 0.7% 감소한 179만 TEU를 처리했는데,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증가(중국 12.7%↑,베트남 11.5%↑)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역 국가들(미국 9.9%↓,일본 19.9%↓등)의 물동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58만 TEU) 대비 36.3% 감소한 37만 TEU를 처리했는데, 이는 그동안 최대 환적물량(약 20만 TEU)을 차지하던 머스크사의 중남미항로 폐지(‘19.11~) 및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이 폐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세계 10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2020년 11월 기준 누적 총 물동량은 2억 3,400만 TEU로 전년 동기대비 0.9% 증가했다.

이는 중국 항만 물동량 증가*로 인해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물동량 누적 감소분이 어느 정도 회복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중국 제조업 성장세(경기동향지수인 구매자관리지수가 9개월 연속 확장추세임)와 11월 기준 수출량도 전년 동월대비 15% 증가하는 등 물동량도 증가 추세임

지난해 11월 기준 누적 물동량은 상하이항이 3,986만 TEU(전년 동기 대비0.4%↓)로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싱가포르항(3,361만 TEU, 1.1%↓), 닝보-저우산항(2,648만 TEU, 3.4%↑), 선전항(2,397만 TEU, 1.6%↑), 광저우항(2,112만 TEU, 1.4%↑), 칭다오항(2,001만 TEU, 4.0%↑)이 2~6위를 기록했다.

부산항(1,991만 TEU, 1.1%↓)은 세계 7위(전년동기6위)를 기록하였고, 텐진항(1,710만 TEU, 6.1%↑)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에는 전 세계 물동량이 전년 대비 6.6% 증가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Drewry)되며,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컨테이너 물동량도 전년 대비 6.5% 증가할 것으로 전망(‘21.1, KMI)되나,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기조 변화, 백신공급 지연에 따른 인적교류 제약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은 글로벌 물동량의 흐름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이에 적극 대응하고자 주요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등과의 비대면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온라인을 통한 네트워크**를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기존) 선사에 방문하여 대면 면담 → (변화) 화상회의, 웹세미나, 온라인 컨설팅 등

** (구성) 항만당국 - 터미널 운영사 - 선사(글로벌본사 및 한국지사) - 해외 항만당국(역할) 터미널 운영 동향(물동량 서비스 등), 정기 ‘컨’ 노선 현황, 통계 등 상시공유

전국 항만의 2020년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9억 9,794만 톤으로 전년(10억 6,889만 톤) 대비 6.6% 감소했고, 광양항 등 대부분의 항만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 (1분기) 0.5%↑, (2분기) 8.3%↓, (3분기) 9.2%↓, (4분기) 9.3%↓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석유정제품, 화공생산품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제철 수요 부진으로 관련 물동량(철광석, 유연탄, 철강제품 등)이 감소해 전년(2억 6,171만 톤) 대비 8.6% 감소한 2억 3,916만 톤을 기록했다.

울산항은 휘발유 등 유류제품의 수요 부진 등으로 관련 물동량이 감소하고 해외 자동차공장 가동 중단 등의 원인으로 차량용 부품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년(1억 9,497만 톤) 대비 7.0% 감소한 1억 8,130만 톤을 기록했다.

인천항은 정제 마진 하락에 따른 석유정제품 물량 감소와 친환경정책에 따른 유연탄 발전량 축소로 관련 물동량이 줄어 전년(1억 304만 톤) 대비 1.4% 감소한 1억 156만 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택·당진항은 철광석 물동량 감소와 유류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1억 215만 톤) 대비 7.1% 감소한 9,485만 톤을 기록했으며 대산항은 석유제품 수요 감소로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고 유연탄 수입량도 감소하여 전년(9,207만 톤) 대비 9.7% 감소한 8,315만 톤을 나타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5.1%, 6.1%, 13.5% 12.2% 감소했다.

유류는 석유제품의 국내소비(화학제품, 도로운송, 제조업 등) 감소 및 수출 물동량 감소에 따른 원유 수입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4억 7,335만 톤) 대비 5.1% 감소한 4억 4,915만 톤을 기록했다.

광석은 중국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철강제품의 수출 및 내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호주, 브라질 등에서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1억 4,224만 톤) 대비 6.1% 감소한 1억 3,355만 톤을 나타냈다.

유연탄은 화력발전소가 있는 인천항, 태안항, 대산항, 하동항, 삼천포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고, 철강제품 및 시멘트 생산 감소에 따른 수입 물동량(원료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1억 3,860만 톤) 대비 13.5% 감소한 1억 1,994만 톤을 기록했다.

자동차는 주요 수출지역(미국, 유럽, 중동 등)의 코로나19 재확산 및 수요 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년(7,887만 톤) 대비 12.2% 감소한 6,928만 톤을 기록했다.

임영훈 해양수산부 항만운영과장은 “지난해 중량 기준 수출입 물동량은 10% 이상 크게 감소했으나,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 세계적인 교역 위축에도 환적화물 증가로 0.5% 감소에 그쳤으며, 4분기부터는 증가세로 반전되는 등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한다.”라며, “향후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현재 진행되고 있는 터미널 운영사 간 합병을 적극 지원하고 환적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항만공사와 협의해 물동량 유치 목적으로 시행중인 인센티브 제도를 조정하는 한편, 보다 많은 신규항로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