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항, 포트클랑항 등 앞바다 대기 최대 1주일까지 

싱가포르항 전경. 사진 출처:Pearson & Parteners
싱가포르항 전경. 사진 출처:Pearson & Parteners

세계 각지에서 컨테이너항만 혼잡이 발생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서도 혼잡이 심각해지고 있다. 선사 관계자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는 앞바다 대기가 최대 1주일까지 장기화되고 있다. 포트클랑 등 말레이시아항에서도 3일 이상의 대기가 상시화되고 있다. 게다가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코로나 감염이 재확산되고 있어 허브항 이외로도 혼잡이 파급되고 있다. 7월 초부터 록다운이 시작된 베트남에서도 항만 노동자 수배에 지장이 생기는 등 체선이 악화되는 경향에 있다. 당분간은 혼잡이 개선될 요소가 보이지 않는다고 일본해사신문이 전했다.

“연초부터 항만 혼잡 영향으로 결항 등의 스케줄 조정이 계속되고, 다음 예정편까지 스케줄이 뒤로 밀리는 슬라이드가 발생하고 있다. 3 - 4편에 1편이 사실상 결편이라는 상황은 드물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더욱 악화돼 서비스에 따라서는 격주가 되고 있다”고 모 아시아선사 관계자는 말한다. 동사는 자사 서비스로 일본 국내의 컨테이너 포지셔닝을 행하고 있지만 결편이 증가함으로써 수출항으로의 컨테이너 회송에도 지장이 생기고 있다고 한다.

잇따른 서비스 지연으로 일본 - 동남아시아 간에서도 스페이스가 타이트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본선이 1편 스킵되면 그 다음 본선에서 2주 분량의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 혼잡 영향으로 스페이스, 컨테이너의 회전률이 떨어져 공급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한다.

델타 바이러스의 유행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코로나 감염이 재확산되고 있는 것도 항만의 생산성 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북부 하이퐁, 남부 카트라이 등 베트남 항구에서는 지금까지 1 - 2일 정도 대기했으나 록다운으로 항만 노동자를 수배할 수 없는 것 등의 영향으로 7월 들어 체선이 장기화되는 경향에 있다는 것이다. 외신에 따르면 베트남 항만 운영업체 사이공뉴포트가 21일, 고객에게“코로나가 카트라이항 운영에 마이너스 영향을 주고 있고 화물 체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통지했다. 수입 컨테이너 조기 인수 등을 촉구했다고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도 6월부터 록다운이 계속되고 있다. 생산공장 중단도 잇따르고 있고 서플라이체인의 혼란이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외 아시아 항만에서는 중국 상하이에서 1 - 2일 정도, 닝보에서 1 - 3일 정도의 대기가 발생하고 있다. 5월 코로나 신규 감염자 발생으로 항만 기능이 일시 중단됐던 옌톈항에서도 여전히 2 - 4일 정도의 체선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옌톈항 혼잡은 주변 서커우, 난사, 광저우, 홍콩 등으로도 파급되고 완전히는 해소되지 않았다.

부산 신항에서도 항만 혼잡이 계속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부산신항의 컨테이너 수용 능력에 대한 장치량 비율은 4월부터 계속해서 80%를 초과해 정부 주도로 수출화물 일시 보관장소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됐다고 일본해사신문은 보도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