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창궐이후 극심한 공급망 혼란이 야기될 때 선박운항 횟수도 급감, 선복 잡기가 하늘에 별따기 수준이었지만 무엇보다 공(빈) 컨테이너박스 부족에 시달려 선사, 실화주, 포워더 모두 비상이 걸렸었다. 컨테이너박스 제조사가 중국에 몰려있어 코로나 이전 제조가격의 몇배를 주고도 적기 인도가 안될 정도로 주문이 쇄도했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대유행이 지나가고 엔데믹 하에서 항만정체, 육상물류 혼란 등이 개선되면서 일부에선 컨테이너박스가 남아돌아 골칫거리(?) 신세가 되고 있다는 얘기가 들려오고 있어 격세지감을 느낀다.

모 선사의 경우 코로나 이전 불황시기 최고경영자로 부터 질책을 받아가며 용선, 신조한 선박들이 지금은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것.

코로나19 사태는 CEO의 해운경영, 시황예측 능력의 시험대다. 능력여하에 따라 그 후유증을 크게 덜 수 있게 되는 것을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톤세 제도 등 정부의 지원책에 대한 수혜를 어떻게 화답하는 가도 CEO의 지혜요 몫이다. 

피크아웃(정점 통과)이 곧 도래할 것으로 해운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지만 언제 또다시 새 변이가 나타나 공급망을 혼란시킬 수지 몰라 더욱 CEO의 혜안이 절실한 시점.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