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수출 비중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  top3는? ...  반도체 ,  정밀기기 ,  디스플레이 순
對中 수출 9배 , 수입 10배 증가 ... 교역구조는 악화일로
對中 수출 3대 과제 : 중국경제 둔화 대비 , 중국과의 기술격차 확대 , 미 · 중 경쟁 심화 대응

중국 상하이 전경. 사진 출처:https://kr.blog.kkday.com
중국 상하이 전경. 사진 출처:https://kr.blog.kkday.com

2021년 기준  對中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이며 최근  20년 간  對中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반도체 인 것으로 조사됐다 .

대한상공회의소가 한 · 중 수교 30 주년을 맞아 21일 내놓은 ‘ 산업별 對中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 ’ 에 따르면 , 작년 기준 對中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순으로 집계됐다 .

※ 산업별  對中  수출 비중: 해당산업의  對中  수출량 / 해당산업의 전세계 수출량

2000 년  對中  수출 비중이 높았던  목재(42.3%), 가죽 · 신발(38.8%), 석유화학(33.4%), 기타 전자부품(27.2%)  등과는 확연히 달라진 순위다 .

대한상의는  “ 소비재의  對中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크게 늘어난 양상 ” 이라며  “ 한 · 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 ” 라고 분석했다 .최근  20년 동안  對中  수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2000년 반도체산업의 대중국 수출비중은 3.2%였지만 작년에는  39.7% 로  36.5%p,  약  13배가량 증가했다 .

다음으로  對中  수출 비중 증가폭이 큰 업종은  정밀기기 (7.5% → 42.5%, 35%p ↑ ), ‘디스플레이(2% → 35.2%, 33.2%p ↑ ), 세라믹(5.6% → 32.3%, 26.7%p ↑ ), 통신기기(1.5% → 27.9%, 26.4%p ↑ )  순이었다 .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對中  의존도 증가는 역으로 말하면 ,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단 얘기” 라며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상의는 이어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고위기술 산업군은 대외리스크에 훨씬 민감하다” 며  “對中   의존도를 중국이 무기화하지 못하도록 수출다변화 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교 이래  對中  교역은 빠르게 급증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

수교 후  8년 뒤인  2000 ,  한국의  對中  수출 규모는  185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 에 불과했으나 , 2021년에는  1,629억 달러로  9배 가까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5.3% 를 차지했다 .  동기간 한국의 수출 규모가  3.7 배 증가한 것 (1,723억 달러  →  6,444억 달러) 을 고려하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  중국은  2003 년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미국을 앞지른 이후 지금껏 부동의  1 위를 유지하고 있다 .

한국의  對中  수입규모는  2000년  128억 달러로 그 비중은  8%  수준이었으나 , 2021년에는  22.5%  수준인  1,386억 달러로 증가해  10배 이상 커졌다 .  반면 동기간 한국 수입 규모는  1,605억 달러에서  6,151억 달러로  3.8 배 증가했다 .

다만 최근 추이를 살펴보면 대중 교역 규모는 성장하는 데 반해 교역수지는 악화되고 있다 .  이에 대해 보고서는 원자재 · 중간재 등 분야에서 대중 수입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중국의 경제성장률 하락이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대중 수출은 상대적으로 적게 증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對中  직접투자의 양상 변화에도 주목했다. 2000년  對中  직접투자는  8 억 달러 수준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67억 달러로 크게 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누계액은 약  816억 달러에 달한다.  보고서는 중국 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2.5~3%  수준으로 절대적인 규모는 크지 않지만  화교 자본을 제외한 순수 외국 투자 중에는 일본과 함께 최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가장 달라진 점은 투자 목적이다. 2000년 이루어진 대중 직접투자의 절반 이상은  ’ 수출 촉진 (51%)’ 이 목적이었다.  제 3국 진출을 위한 일종의 발판 삼기용 투자였던 것이다.  하지만  2021년에는  현지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이뤄진 투자가  67% 로 가장 많아지면서 ,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보는 시각이 생산입지에서 수요시장으로 전환되었음을 드러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경제는 사드 사태,  코로나 팬데믹 등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상호 호혜적 관계 속에서 비약적 발전을 이뤄 왔다” 며  “하지만 지금의 중국시장을 바라보며 기업이 느끼는 위기감은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 이라고 말했다.  우태희 부회장은 이어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중국의 기술추격,  미중 패권경쟁 심화 등  3중고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