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을 제외하고 전세계가 위드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물류 병목현상이 급속히 해소되고 있다. 여기에 러-우 전쟁, 인플레이션 압박 등 요인으로 세계 경기 침체가 확산되고 있어 컨테이너 정기선운임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컨테이너 정기선시장은 세계 경제, 소비자 심리 움직임에 매우 민감하다. 선복량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공급과잉이 예상되기도 하고, 내년부터 IMO 규제가 실질적으로 본격화되면서 해운시장은 불확실성 그 자체다.

일각에선 컨테이너운임이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하지만 현장에 있는 해운인들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위드코로나 시대를 맞으면서 화주들은 피부에 와닿는 스팟운임이 계약운임보다 크게 낮아지고 있어, 선사들에 재계약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서고 있다. 일부 선사들은 아예 미리 운임 디스카운트를 발표하고 있다.

치킨게임이나 철저한 화주 우위의 냉혹한 컨테이너선 운임시장을 겪은 CEO들은 초긴장하고 있다.

코로나라는 예외적인 상황을 맞아 생각지도 못했던 사상초유의 어닝서프라이즈를 맛봤던 컨테이너 정기선 해운시장의 향후 불황 진입에 상당히 떨고(?) 있고 있는 것.

컨운임이 이미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간 항로도 있다. 다만 최근 북미항로 운임 하락세가 속도조절하고 있어 다행이지만, 화주들의 촉(觸)은 매서울 정도로 선사들을 누르고 있다.

이는 현장감이 떨어지는 일부 해운전문가들과는 달리 일선에 있는 컨선사 CEO들에겐 불황이 예상보다 빨리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체감케 하고 있는 것.

해운 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나 금융기관 관계자들이 컨테이너선사 CEO들과 긴밀히 소통해야 하는 이유 중의 하나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